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오른쪽으로 5m 움직였으며, 66년에는 샌프란시스코 남동쪽 일부가 파크필드 지진으로 오른쪽으로 움직였다 적출(摘出)한 기관이나 조직을 장시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매액(媒液)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 그 동물의 혈청 등 체액과 비슷한 이온조성 · 삼투압 · pH를 가지도록 ...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과학동아 l2003년 09호
- 호평으로 네덜란드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암스테르담에 정착하게 됩니다.그림을 보면 오른쪽에서 해부를 집도하고 있는 툴프 박사의 옷차림이 단연 눈에 띕니다. 다른 사람들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고급스러운 옷을 입고 눈에 띄는 모자를 쓰고 있는데다 얼굴 뒤에는 마치 후광처럼 조갯살 ...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3년 08호
- 30분 남짓, 버스는 종점에 다다랐다.얼음골 관리사무소를 지나 시원한 바람이 부는 오른쪽 계곡을 따라 10분 정도 올라가자 땀은 식고 어느새 가슴이 떨릴 정도로 추위가 느껴졌다. ‘이곳이 과연 얼음골이 맞구나’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얼음골은 경남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해발 1천1백89m의 천황산 ...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집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고흐가 그림을 그린 방향을 끈질기게 관찰한 결과 그림 속의 집 오른쪽 위에 빛나는 커다란 노란 별이 금성이라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림에 나오는 별의 위치와 방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해서 그림 속의 금성이 1890년 6월 16일 오후 7시경 정확하게 그 ...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지질(脂質)의 당질 생성작용을 촉진하는 화합물의 무리 행렬 또는 행렬식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긋는 대각선 위에 위치하는 원소이다 행렬의 대각선 원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0인 정사각행렬이다전지구적 규모의 대기운동 대기환류라고도 한다지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에 따라 ... ...
-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가 결정한다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지닌 세포로 돼 있으며, 생식기관인 정소와 난소도 하나씩 갖고 있다. 겉모습 또한 오른쪽과 왼쪽이 완벽히 둘로 갈라져있다.연구팀은 핀치새의 두뇌를 조사한 결과 역시 남성과 여성부분으로 나뉘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조용한 암컷과 달리 수컷은 복잡한 노래를 크게 부르는데, 노래를 ...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사실이다. 예를 들면 한 집에는 ‘머리가 없는 미라’가 안치돼 있고, 다른 집에는 ‘오른쪽 다리가 없는 미라’가 안치돼 있는 식이다.이 마을 관습에는 결혼식 전날 신부는 웨딩드레스를 입고 교회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지금까지의 죄를 참회하도록 돼 있는데, 와까바 역시 결혼식 전날 교회에서 ...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과학동아 l2003년 04호
- 티모시 그리핀 박사와 콜로라도대의 로저 크램 박사는 펭귄이 걷는 동안 왼쪽-오른쪽, 앞-뒤, 그리고 수직 방향에서의 에너지 변화를 측정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게재했다.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추의 움직임을 상상해 보자. 좌우로 움직이다가 한쪽 정점에 도달했을 때 중력에 의한 추의 ... ...
-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과학동아 l2003년 04호
-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앞으로 가면 병원이 있으니까 거기서 오른쪽으로 가면 신호를 만나 좌로 꺾은 곳입니다. 걸어서 3분 정도입니다”라는 설명을 들으면 쉽게 알 수 있다. 잡음이 많은 정보라면 필요한 것만 요약하면 된다. 따라서 좋은 간판의 정보량은 타이틀인 경우 1 ...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이를 복제한 조각상 1백7개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고대 조각가들은 대부분 오른쪽 음낭을 왼쪽보다 ‘높게’ 만든 점에서는 해부학 연구와 일치했지만, 왼쪽 음낭을 ‘크게’ 만든 점에서 사실과 달랐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을 보면 이 점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