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기획 덕분이다. 그러니까 우연히 이 책을 마주쳤다면, 당신은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다.“자연, 문화, 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비’만큼 주관적인 단어가 또 있을까. 올해 한반도는 가뭄과 홍수, 즉 비와 관련된 두 재난으로 곳곳에 상처를 입었다. 그러나 해가 바뀌면 분명 촉촉하고 싱그러운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반복해야 1이 돼요. 벨로스는 수학예술가 에드먼드 해리스의 도움을 받아 1만 이하의 자연수가 1이 되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프를 만들었어요. 어떤 수를 정하든 연결된 선이나 붙어있는 수를 따라 가면 1이 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그래프의 숫자를 없애고 숫자가 쓰인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색공간은 삼각형 영역의 색만 표현할 수 있을 뿐, 자연에 있는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지는 않아요. 그래서 색채 연구자들은 색공간을 더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최근에는 DCI-P3(이하 P3)라는 색공간이 주목받고 있어요. 이 색공간은 월트 디즈니, 소니 픽처스, 2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스테고사우루스 등이 있지요.하지만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런던 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공룡 계보가 틀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74종의 공룡 화석을 457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분류해 이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용반목의 수각류 공룡과 조반목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원들이 스스로 생물을 탐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이 과정에서 생명다양성과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지요. 발대식에 참여한 대원들은 1년간 즐겁고도 안전하게 탐사를 진행할 것을 다짐했답니다.4월 22일부터 화분매개자를 시작으로 봄 현장교육이 진행될 예정이에요. 올해도 전국에서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박사팀은 수수, 토마토, 담배 등 구조가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작물 557개체를 심어 다양한 자연 조건에서 키웠다. 그리고는 다 자랄 때까지 20~30회에 걸쳐 고정밀 3D 스캐너로 가지가 공간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변화를 관찰했다.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식물 가지의 분포 변화를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지만 국내 경주에 있는 방폐장에서는 지하 100~300m 깊이의 암반 내 또는 지하 동굴에 자연방벽과 인공방벽을 이용해 폐기물을 처분한다(동굴처분 방식). 사실 동굴처분 방식과 표층처분 방식을 모두 지을 수 있었지만, 현재단계에서는 저준위 폐기물이라 할지라도 훨씬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 ...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휴가철입니다. 이번 화는 여름에 맞게 특별히 시원하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준비했습니다. 바로 인도 데라둔에 있는 산림연구소대학교(FRI)입니다. 수도 뉴델리에서 북쪽으로 255km 정도 떨어진 데라둔은 시왈리크산맥 중간에 있어서 해발고도가 435m에 달합니다. 근처엔 히말라야 산맥과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첨단 과학탐구)2. 살아있는 이공계 진로 정보! ‘전공과 진로’ 콘텐츠 신설● 공대, 자연대의 전공 특징과 진학 노하우, 교과과정, 헤드헌터가 바라본 전망을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관련한 기사도 함께 볼 수 있어요.● 서울대 공대, KAIST, DGIST, UNIST, GIST, POSTEC 등 주요 대학의 연구실을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화학과 바실리오스 스타브로스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다음 세대의 자외선차단제는 자연에서 배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는 국화과 꽃의 추출물, 해조류에 들어있는 마이코스포린유사아미노산(MAAs) 성분 등을 천연 자외선차단제 후보 물질로 연구하고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