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업일
평일
d라이브러리
"
작업일
"(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금 밖으로 나가 밤하늘을 올려다보고 머리 바로 위에서 빛나는 가장 밝은 별을 찾아보자. 약간 노란빛을 띠고 있는 별이 보일 것이다. 이것이 토성이다. 1년에 한번씩 충을 맞이할 때마다 하늘 높이 빛나는 토성! 바로 지금이 토성 시즌이다.지난 2005년 1월 14일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우주탐사선 카 ... ...
모차르트 효과 정말 있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1월 27일은 천재 음악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가 태어난 지 25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장송곡 레퀴엠을 미완으로 남겨둔 채 1791년 12월 5일 35세의 짧은 생을 빈에서 마감했다. 지금도 세계는 그의 선율 속에 빠져 있으며 새해부터 그를 기념하는 행사들이 대대적으로 열리고 있다.모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예술과 과학이 서로를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으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 대체 언제부터일까. 1797년 1월 28일자 영국의 배스 헤럴드지에 실린 작자 불명의 시는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기술’이 얼마 전에 그녀의 언니 ‘자연’을 만나 언니가 무료하게 지내는 것을 보고 자기가 만든 안드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안녕하십니까?‘어린이과학동아’뉴스입니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춥고 눈이 많이 와서 사람들을 힘겹게 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1일부터 27일까지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2.0℃로 지난 30년 동안의 평균 기온인 1.7℃보다 3.7℃나 낮았고 1973년 이후 가장 낮은 기온을 보였습니다. 또한 21일 정읍,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우주는 인간과 비슷하다. 젊었을 때 한창 빛과 열을 뿜어내던 별들도 나이가 들면 잠잠해진다. 그러나 노익장을 발휘하는 별도 있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씹는다고, 수소 연료를 다 태운 별들은 수소가 타고 남은 헬륨을 다시 모아 마지막 불꽃을 터뜨린다.연세대 이영욱 교수가 이끄는 자외선우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2 0 0 7 년 발사될 소유즈 우주선에 승선할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뽑는 사업이 시작됐다. 지난해 11월 과학기술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통해 이달부터 우주인 후보 선발작업에 들어가 오는 5월까지 최종 2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발된 우주인들은 1년 정도 훈련과정을 거쳐 내년 4월 소유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고했네! 이제 내가 조종할 테니 가서 눈 좀 붙이게나.”항해사들이 임무를 교대할 시간이다. 1992년 12월 남극반도 북단 킹조지섬 부근 바다를 항해하던 한국해양연구원의 종합해양연구선 ‘온누리호’의 조종을 맡은 항해사들은 요 며칠 동안 계속 초긴장 상태다. 남극해역을 항해하다 언제 빙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냉철한 지성과 뜨거운 감성의 만남. 흔히 과학과 예술의 만남을 일컫는 표현이다. 하지만 정확한 수치와 정밀한 계산으로 자연 법칙을 발견하는 과학자는 냉철한 지성의 소유자며, 인간 내면과 주위 현실에 대한 성찰을 선과 색을 빌어 표현하는 예술가는 뜨거운 감성을 가졌다는 이 표현은 별로 적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선정 10대 뉴스01_황우석 교수 파문MBC PD수첩이 “황 교수의 지시로 줄기세포 사진을 2장에서 11장으로 부풀렸다”는 연구원의 증언을 보도하고 생명과학인들이 줄기세포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연구 진위 논란이 불거졌다.02_세계 최초 50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20년 전에 남극 상공에서 발견된 오존 구멍이 사라지러면 6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존층에 구멍을 내는, 냉장고나 에어컨에 쓰이는 냉매 화합물이 대기에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글리코시드 형의 화합물 디옥시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