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틈으로 선수가 결승선에 선 순간 사진을 찍지요. 이를 통해 선수들의 세세한 움직임까지
정확
하게 포착할 수 있답니다.특히 이번 리우올림픽에서는 더 뛰어난 장비가 첫선을 보여요. 포토셀의 경우 두 개에서 네 개로 적외선을 더 많이 쏘아요. 그 결과 선수들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에 몸의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것으로 판단해서 아웃 오심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거예요.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은
정확
한 계측을 하는 전자 심판이 경기에 꼭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몸무게는 우리 몸에 작용한 중력의 크기이기 때문이에요.중력은 지구가 땅 아래,
정확
하게는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나를 끌어당기는 힘이에요. 그런데 산 정상은 다른 곳보다 지구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중력이 아주 미세하게 약해져요. 그리고 중력이 작해지는 만큼 몸무게가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낼 정도로
정확
하지요.한국스포츠개발원의 길세기 선임연구원은 “전자 심판으로
정확
한 판정은 물론,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경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운동 경기에서 전자 심판의 역할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뇌와 차이가 있어서 연구가 완벽하진 않아요. 제현수 교수가 만든 중뇌 오가노이드는 더
정확
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해 줄 거예요. 교수님과 함께 파킨슨병을 정복하는 그날까지 제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온몸이 마비돼 죽고 말지요. 하지만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독에도 끄떡없어요. 이유는
정확
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흰동가리가 태어날 때부터 말미잘의 독으로부터 몸을 방어하는 물질을 갖고 있다고 설명해요. 또한 함께 생활하면서 말미잘의 독에 적응하게 되었다는 의견도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죽었을 때 함께 묻힌 개의 유골이나 벽화가 발견되어야만 확인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정확
한 시기를 밝혀내기가 무척 어렵지요.최초의 집개 화석은 개를 안은 자세로 묻힌 한 여인의 유골과 함께 이스라엘에서 발견됐어요. 분석 결과 1만 2000년 전 것으로 밝혀졌지요. 최근 독일에서도 1만 4000년 전에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우산 재벌 ‘ 억수르 비마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한다. “여기 우산 4개가 세로로 두 줄로 꽂혀 있지? 그런데 말야, 나는 이 우산을
정확
하게 꽂아놓고 싶어. 지금은 두 줄의 합이 안 맞잖아? 우산 두 개만 바꿔서 두 세로줄의 합이 같도록 해 줘.”썰렁홈즈가 문제를 맞히는 동안 빗줄기는 점점 굵어지고 있었다. 얼른 우산을 쓰고 싶은 썰렁홈즈에게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운석은 여러 물질로 오염될 수 있어요. 소행성에서 직접 표본을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정확
하답니다.Q 하야부사 프로젝트에서 새로 알아낸 사실이 있나요?하야부사가 소행성 ‘이토카와’를 탐사한 결과, 소행성에서도 ‘우주풍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마치 자외선이 우리 피부를 검게 ... ...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경우에는 호흡곤란까지 생길 수 있어요.이렇게 나방이 급증했지만 왜 그런 것인지, 아직
정확
한 원인은 알지 못하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기온 상승으로 수가 늘어났거나 따뜻한 기온으로 겨울에도 죽지 않고 살아남은 나방의 수가 많아서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나방 외에도 꽃매미,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