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는 종류”라며 “따라서 이곳에 살던 인류는 본격적으로 불을 이용해 요리를 했다고
추측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쉽게도 이곳에서 인류의 화석은 뼈 한 조각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이 누구였는지는 알 길이 없다.한편 인류가 최초로 불을 사용한 흔적은 15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병이 심각했다고 주장했지만 우주환경에서 녹농균의 독성이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추측
하는 과학자도 있었다.이런 사례를 ISS에 머물고 있는 우주인이 반가워할 리 없다. 따라서 ISS는 우주인이 왕복하면서 옮겨놓은 각종 미생물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우주인이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독한 술을 마시는 식습관으로 보아 러시아인의 ALDH1 유전자가 잘 활성될 것”으로
추측
했다. 선조의 술 습관이 후대의 게놈에 흔적을 남긴 셈이다.카레 속 커큐민 암세포 성장 유전자 제어인도인들은 먼 길을 떠날 때 상비약으로 ‘강황’을 챙긴다. 인도인들은 강황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해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impusdicus)다.중지의 어원에 대해서는 서양의 욕설에서 유래했다는 등 많은
추측
이 있다. 약지의 이름은 ‘안눌라리스’(annularis)로 ‘해마다’(annual) ‘약속’ ‘반지’의 뜻이 있다. 결혼반지를 약지에 끼는 풍습은 고대부터 어어진 셈이다. 새끼손가락은 ‘오리쿨라리스’(auriculaaris)라 불렀는데,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유래했다는 점이나 별자리 그림에서 이 별이 메두사의 머리에 위치한다는 점이 이런
추측
의 근거다. 하늘이 완전하고 영원하다고 믿었던 옛 사람들은 변광성을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서쪽하늘에 떠 있는 고래자리의 변광성 미라 역시 이름에 ‘기이한 별’이라는 다소 어두운 의미를 갖고 있다. ... ...
응어리진 한을 푸는 과학수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낳다 생긴 상처가 있었을지 모른다. 임산부 배의 피부에 생기는 튼살도 출산 여부를
추측
하는데 도움이 된다.천령의 과학수사 덕분에 범인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날 때쯤 월령의 시체가 갑자기 화장된다. 설상가상으로 월령의 출산 사실을 알고 있던 궁녀들이 연달아 의문의 죽음을 당하며 월령의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중 육식류의 하나 카르니보라목(Carnivora 目)의 아목(亞目) 돌고래나 고래의 선조로
추측
된다북태평양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 부근에 중심을 둔 고온다습한 해양성고기압 영구적으로 존재하며 그 중심위치는 여름철에 약간 북상하고, 겨울철에 약간 남하한다 우리나라에는 장마가 끝난 뒤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부정교합이 심하면 고기를 물어뜯기 힘들다”며 “육식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추측
했다. 항상 로드러너를 쫓아다니지만 정작 로드러너를 잡아도 소용없을 수 있다.그래도 코요테가 고기를 씹는 데는 문제가 없다. 비록 턱은 부정교합이지만 열육치(고기를 자르는 날카로운 이빨)와 어금니는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선물했다. 아마 이때의 선물에 망원경과 그 원리를 다룬 ‘원경설’이 포함됐을 것으로
추측
된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서 망원경에 관한 기록은 영조 시대까지 거의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다. 숙종 때 딱 한번 등장하지만 청나라 관리가 망원경을 갖고 다니면서 지형을 살핀다는 부러움을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도움을 주는 위석은 공룡이 식물을 먹었다는 증거다. 따라서 기간토랩터도 잡식성이라고
추측
할 수 있다. 혼돈 속에 빠진 공룡학자새와 비슷한 부리와 깃털을 가진 ‘초대형’ 공룡이 중생대 백악기에 존재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깃털달린 공룡들은 체구가 작아지는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