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이 걸 먹는다고?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환자의 토사물을 먹으며 쓴 박사논문아무리 박사 논문 쓰기가 어렵다 한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스터빈스 퍼스 박사만 할까. 그는 황열병이 사람을 통해 전염되지 않는 것을 밝히기 위해 환자의 토사물은 물론, 피와 땀, 오줌을 먹어가며 논문을 썼다.주로 적도지방에서 발생하던 황열병이 1804년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뇌와 컴퓨터는 분명히 다르다. 뇌가 우리 몸의 생리 현상을 조절하고, 몸을 움직이며, 사람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정신까지 만들어내는 원리를 우리는 아직 모른다. 우리 몸에서 가장 은밀한 비밀을 감추고 있는 뇌. 과학자들은 인공적으로 뇌를 만들며 그 특별한 능력의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인공 ...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가장 편안한 잠을 선사하는 침대와 베개, 사고가 났을 때 승객을 최대한 보호하는 자동차 에어백, 오랫동안 걷거나 달릴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줄이는 운동화 공기깔창, 옷맵시를 돋보이게 하는 보정속옷 등 인류는 여러 가지 쿠션을 개발해 왔다. 과연 이 많은 쿠션들이 단순히 사람의 상상 ... ...
- 스펀지 MATH수학동아 l2012년 03호
- 고대 바퀴는 □을 재던 도구였다!자~! 첫 번째 문제입니다. 네모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일까요? 상상력을 발휘해 자유롭게 떠올려 보세요.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인가요? 여기저기서 오답이 속출하는군요! 발자국? 담벼락? 고인돌이라고요? 모두 ‘땡!’입니다. 도대체 고대 사람들은 바퀴로 ...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문화재를 파먹으면 아니아니~ 아니 돼요!” 그런데 아무리 안 된다고 설득해도 흰개미는 도통 말을 듣지 않아. 그렇다면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 가상생태계연구팀에게 해결책을 묻는 수밖에 없겠군. 흰개미 피해를 수학적으로 줄이기 위한 연구가 이 곳에서 진행 중이라는 정보를 입 ...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언제나 손에서 놓지 않는 휴대전화나, 학교가 끝나고 집에 가며 먹는 떡볶이 같은 물건에는 가격이 있다. 물건뿐만이 아니다. 버스나 기차에 탈 때 내는 요금에도 서비스에 대한 가격이 붙어 있다. 게다가 학원비도, 선생님의 월급도 일종의 가격이다. 그런데 이런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경제 ...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다면, 그것도 도시 구석구석 본다면 어떤 기분일까.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2호는 2006년 7월 28일 러시아에서 발사된 뒤 지금까지 지구를 돌며 사진을 찍고 있다. 가로세로 1m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어 해상도가 높다. 위성사진은 국토관리, 자원탐사, 농업, 해양 감시 등 다양한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토륨 원전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분분하다. 찬성하는 연구자들은 기존 우라늄 원전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루 빨리 상업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호의적이지 않은 연구자들은 원료를 바꾸는 것이 완벽한 대안은 아니며 새로운 시스템의 우라늄 원전을 통해 기존 원전의 문제 ... ...
- 원시인은 식인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식인종’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식인종은 과연 존재할까요. 영화에는 정글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식인종에게 잡혀서 끓여 먹히거나 구워 먹히기 직전 아슬아슬하게 도망쳐 나오는 장면이 많습니다. “누가 식인종이냐” 하고 물어보면, 사람들은 십중팔구 정글 등 오지에 살고 있는 원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하늘과 땅이 만나는 수문학수문학은 하늘과 땅이 만나는 학문이다. 물의 순환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땅 위 또는 땅 속을 흐르던 물이 바다로 가고, 증발해 하늘로 올라간 뒤 다시 비가 돼 내려온다. 이 과정에서 물은 인간에게 자원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수문학을 달리 말하면 수자원을 연구하는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