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뮤니케이션
서신
telecom
연락
매스컴
코뮤니케이션
커뮤니티
d라이브러리
"
통신
"(으)로 총 3,42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실전에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다.
통신
기술이 발전한 요즘에는 적군이 아군의
통신
을 감청하거나 가로챌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원격조종에만 의존하는 로봇은 활용도가 떨어진다.자율주행 기술은 10단계로 구분한다. 1~2단계는 원격조종이 가능한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 2002년부터 이라크전에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ISSCC)에서 전선 대신 사람의 몸을 이용해 고속으로 MP3 파일을 전송하는 ‘인체
통신
기술’을 발표했다. 몸 안에 전류가 흐르면 위험하지만 인체를 매질로 전파를 전송하는 것은 감전의 우려가 없다. 기지국에서 휴대전화에 전파를 쏴도 공기 중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 또 사람과 ... ...
인터넷 거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있다병원성이 있고 어떤 종은 용혈성(溶血性)을 가지고 있다 자동제어공학이나 전기
통신
공학에서 폐(閉)루프계(系)의 주파수 특성을 벡터 궤적으로 나타낸 선도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끓는점 87℃ 제2차 세계대전 중에 ... ...
통신
대란 예측하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때문에 생긴 장애 외에 통화량 폭주로 인한
통신
대란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현재 우리의
통신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알려져 있고 그 개발 속도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거듭되는 기술 진보에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동반되기 마련이다. 갑작스런 사고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위험관리가 ... ...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하지만 대부분 당장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은 아니다. 다만 최근 군
통신
중계기를 단 무궁화 5호 위성이 발사되면서 한국 군도 네트워크 중심 전장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또 앞으로 군 정찰능력을 갖춘 위성들이 개발될 계획이어서 우리의 우주전력은 계속 커질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처럼 찌그러진 레이저 방정식 코드를 풀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일본 국제전기
통신
기초기술연구소(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의 하라야마 그룹과 김 교수팀뿐이다. 빛을 타고 가는 정보고속도로김 교수는 광 혼돈 현상을 이용해 ‘양자 암호’도 연구하고 있다. 빛의 . ...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희박해서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다. 극지방에서는 오로라가 나타나고 기상관측위성이나
통신
위성을 띄운다.중간권높이 50~80㎞ 사이의 공기층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중간권의 가장 윗부분에 이르면 대기권에서 가장 낮은 온도인 영하 90℃까지 떨어진다. 대류현상이 일어나지만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하는데 시간을 나눠 반은 송신에 쓰고, 반은 수신에 사용하는
통신
기술주파수에 따라 다른 채널의 주파수대역을 여러개로 나눠 각 대역마다 적절한 데이터 수를 할당함으로써 대역폭과 전력 면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특정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는 집단을 계속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실현하는 교통수단이란 점도 사회적으로 큰 이익이다.나아가 토목, 건축, 차량,
통신
, 신호, 제어 등 여러 부문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종합시스템 산업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철도의 발전은 곧 국가산업 전체의 발전이나 다름없다.철도의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면서 철도 재도약의 분위기도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수세기 전에 살았던 한 마리의 개과 동물이 진화해 현재 세계의 개들 몸속에 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세포생물학 분야 권위지 ‘셀’(Cell)에 실린 논문에서 영국 런던대의 로빈 와이스 교수는 개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인 ‘성기육종’을 연구한 뒤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의 제3저자는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