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치킨의 시대’라니, 어떻게 된 걸까요?과학자들은 지구가 태어난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생태계, 기후, 지각 변동 등 지구의 지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기준으로 구분해 왔어요.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가 사는 시대는 신생대 제4기 홀로세예요. 그러다 지난 200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천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평가한다. 이후 식용 친화성, 건강성 등을 고려한 소비자 측면 항목에서 점수를 매긴다. 현재 국내에서 식품으로 등록된 곤충 8종을 포함해 지금까지 국립농업과학원이 후보군에 올린 25개의 곤충 가운데 최고 점수를 받은 식용 곤충은 2016년 선정된 쌍별귀뚜라미다. 쌍별귀뚜라미는 소비자 점수에 ...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6년째 과학교사로 있는 C 씨는 “과학교육에 쓸 수 있는 예산의 차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일반고나 과학중점고, 과학고 모두 과학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나 과정은 교사의 자율에 맡긴다. 차이라면 과학교육에 배정되는 학교별 예산이다. C씨는 “과학중점고는 일반고보다 연간 예산이 약 10배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GB 영화 약 251만 편을 저장할 수 있다. 기후물리연구단은 해양 10km, 육지 25km의 해상도로 현재 및 미래 기후를 시뮬레이션해, 벌써 약 2000TB의 기후 자료를 생산했다. 10km 해상도는 두 격자점의 거리가 약 10km임을 의미한다. 팀머만 단장은 “세계 최초로 수행된 초고해상도 미래 기후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공정, 기기에 따른 최적의 구동 조건까지 유기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윤 책임연구원은 ‘장수명 배터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경쟁력이 앞으로는 수명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배터리 사용 시간과 운행 거리, 충전 횟수,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동아리원의 80%가 모두 한 기숙사 소속일 때도 있다. 나는 현재 학생 투자 동아리에서 활동 하고 있다. 이 동아리는 한 졸업생의 기부금으로 시작 됐다. 이후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등 IT 대기업들도 투자했다. 지금은 자산이 몇십 배 늘어 8억 원 정도를 운용하고 있다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마성의 퍼즐게임은 어떻게 기획할까?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전설’ 등의 게임을 개발했고, 미국과 일본으로 서비스되는 것을 총괄 담당했다. 현재는 아주대에서 게임 개발자를 양성하면서 여러 게임회사에 게임 개발과 관련한 자문을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수학동아 게임카페를 이끌고 있다 ... ...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주변 지역의 관심 있는 학생들을 모아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에는 교육감이 교육부 장관의 동의를 받아 특성화중학교를 지정·고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국제 분야, 예술 또는 체육 분야, 대안 교육 분야, 그리고 교육부 장관이나 교육감이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소천체.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소행성(asteroid) 가스를 분출하는 혜성을 제외하고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소천체를 지칭한다.* 카이퍼 벨트 태양에서 45억~70억km 떨어진 지역. 태양계 형성 초기에 행성이 되지 못한 채 남은 다양한 크기의 암석이나 얼음 소행성 무리가 있다.* 야르콥스키 효과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전문 카메라 수준에 가까워졌다”며 “동물이나 풍경을 찍는 전문 사진가가 아닌 이상, 현재 줌 기능만으로도 일상 생활에선 최상급에 다다른 수준”이라고 말했다. 심도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연구 중인 최재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나노 공정이 고도화될수록 이미지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