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최대 9만평 규모 군집 이루는 15cm 작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데테르 프랑스 몽펠리에대 해양학과 교수 연구팀은 피카렐의 군집 규모를 밝힌 논문을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지난달 23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수컷 피카렐은 암컷이 수천 개의 알을 낳을 때 보호할 수 있도록 해저에 육각형 형태의 보금자리를 만든다. 피카렐 알의 크기는 ... ...
[과기원NOW] 로봇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에 인간이 필요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제어 알고리즘에 반영하는 힐로(HILO) 방법에 대한 '견해(Perspective)' 논문을 지난달 2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공장의 협동 로봇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 인간과 로봇이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로봇과 사람이 상호작용할 때는 로봇의 정밀도나 안정성을 ... ...
공룡 대멸종시킨 소행성 충돌 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달하는 대형 소행성이 충돌한 흔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지구&환경'에 공개됐다. 6600만년 전인 백악기 말 지금의 멕시코 칙술루브(Chicxulub) 지역에 충돌한 폭 10~15km의 거대 소행성은 공룡을 포함한 지구 생명체 60%가 멸종한 '5번째 대멸종'을 ... ...
[기고] 달에 가려면 로켓맨의 맥(脈)을 살려야
2024.10.04
을 사용한 점 등을 들어 완전한 우리 로켓이 아니라고 폄훼하기도 하지만, 나로호는
국제
사회에 엄연한 대한민국의 최초 우주발사체로 등재되어 있다. 로켓맨이 평생토록 지향한 바가 “우리 땅에서 우리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발사”하는 것인데 2013년 나로호를 발사·성공하면서 그 꿈을 이루었다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초파리 뇌의 다양한 정보처리 과정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7편을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정교한 행동의 근간이 되는 뇌 기능은 신경세포의 활동과 신경세포 간 연결에 의해 좌우된다. 신경세포들이 어떻게 연결됐는지 확인하면 생물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 ...
[동물do감] 반려견에게 느리게 말하면 더 잘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속도를 늦추면 개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공개했다. 개는 인간의 언어를 쓰지 않지만 인간이 말하는 단어를 학습하고 인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인간과 개의 의사소통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 ...
10월 과학기술인상에 박문정…고분자 합성·제어 분야 개척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된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 ... "앞으로도 전고체 전지 등 에너지 소재로 쓰이는 전하수송 고분자 설계·합성 분야의
국제
적 입지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돌고래도 신나게 놀 때 미소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현지시간) 큰돌고래(Tursiops truncatus)가 놀고 소통하는 모습을 관찰해 분석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발표했다. 동물들은 친구들과 놀다가 싸움을 하기도 한다. 이때 영장류 등 일부 포유류는 놀이가 실제 싸움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입을 벌리고 미소를 짓는다 ... ...
순간 의사 결정 돕는 새로운 뇌 회로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8월 5일 게재됐다. doi.org/10.1016/j.cub.2024.06.06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뇌운에서 발생하는 감마선 방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연구결과를 2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각각 공개했다. 199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초신성과 같은 우주의 천체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관측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로 올렸다. 그런데 우주가 아닌 지구에서도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