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뉴스
"
수상
"(으)로 총 3,5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SW 중심대학 및 AI대학원 신규 공모 18일부터 시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한국재료연구원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웨어(SW) 중심대학과 인공지능(AI) 대학원 신규 대학 공모를 이달 18일부터 시작한다. SW중 ... 열었다. 온라인으로 열린 행사에는 의생명과학 분야 최고상 중 하나인 래스커상을
수상
한 조안 스타이츠 예일대 교수 등이 연설자로 참여했다 ... ...
[CES2021] 흥행 효과 덜했지만 AI·가전 기술력 뽐낸 한국기업들
연합뉴스
l
2021.01.14
따르면 올해 CES에 한국 기업은 345개사가 참가했다. 혁신상을
수상
한 제품·기술 386개 중 100개를 한국 기업들이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행사가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흥행 효과가 덜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한국 기업들이 전 분야에 걸쳐 활약, 코로나19가 가져온 뉴노멀 시대를 이끄는 전자·IT ... ...
굴착기 부품 국산화·스테인리스강판 색처리 개발자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갖춰 국내 건설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수상
자인 배 대표이사는 국내 최초로 스테인리스강판의 흑색 처리기술 개발에 성공해 국내 소재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스테인리스강판의 흑색 처리기술은 스테인리스강판이 ‘은백색’이라는 ... ...
[코로나 과학전쟁] PCR보다 빠르고 간편한 분자진단 기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기술도 등장 지난해 10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
한 직후
수상
자 중 한명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5분만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확인하는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공개했다. 크리스퍼 ... ...
유전자 가위 노벨상 받고 다시 세기 특허전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특허심사관은 툴젠이 출원한 특허의 등록 거절 의견을 고수했다. 지난해 노벨상을
수상
한 제니퍼 다우드나 UC버클리 교수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논문이 우선된다는 게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PTAB은 지난해 이 특허거절 의견을 파기했고 툴젠은 미국에서 특허 등록이 가능해졌다. ... ...
'광섬유의 아버지' 나린더 싱 카파니 향년 94세로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8
“세상은 내가 광섬유의 아버지라고 말하고 카오는 나보다 수년 뒤 연구를 시작했다"며 "
수상
자를 결정하는것은 스웨덴 왕립과학원으로 어떤 기준이을 썼든 그들은 결정을 내렸다”이라고 말했다. 카파니는 1999년 미국 경제매체 '포춘'에서 20세기를 바꾼 7명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로 선정되기도 ... ...
'AI연구 의사' 건양대병원 김종엽 교수, 과기부 장관상
연합뉴스
l
2021.01.08
대한민국 의료 인공지능(AI) 발전과 인프라 조성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
했다고 7일 밝혔다. 김 교수는 건양대병원 헬스케어데이터사이언스센터를 개설해 병원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의료 데이터를 비식별화하고 외부에 공개하는 등 AI 분야 자료 처리 역량을 높인 공을 ... ...
[과학게시판] IBS-서울대 생명과학부 RNA 국제교류 행사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1.01.08
젊은 연구리더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생명과학 분야 최고 권위의 래스커상
수상
자인 조안 스타이츠 예일대 교수와 국제학술지 셀 편집장인 미아오 치 타이 등 국내외 과학자 30여 명이 발표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홈페이지(https://narrykim.org/en/minisymposia/)에서 무료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더러 있으나(마리 퀴리와 이렌 졸리오-퀴리, J.J. 톰슨과 G.P. 톰슨 등) 같은 해에 공동
수상
한 경우는 브래그 부자가 유일하다. 의사들은 인체에, 물리학자들은 소금(NaCl)이나 다이아몬드 같은 결정체에 엑스선을 쏘아 재미를 봤다면 생물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엑스선을 이용해 단백질 같은 큰 ... ...
[소재의 미래]⑻이산화탄소는 에틸렌으로, 산소는 전기로…‘꿈의 전기차’ 향해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 논문으로도 채택됐다. 리튬이온전지는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
분야로 선정될만큼 현존 기술로는 최고의 에너지 저장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전기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할 만큼 성능이 개선되면서 친환경 에너지 기술도 이끌고 있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1991년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