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발표"(으)로 총 19,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04.30
- 세균)이 그간 남극의 기후 변화 추이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앤 융블루트 박사가 남극 맥머도 빙붕에서 시아노박테리아 표본을 수집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1902년 12월, 스콧 원정대가 남극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시아노박테리아의 표본. - Tayler&Francis 제공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함량이 단위면적당 가장 높아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2003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단위면적(1000m²)당 옥수수는 연간 1명, 쌀은 2.4명, 감자는 3.4명을 부양할 수 있는 탄수화물을 생산한다. 고구마는 3.9명으로 가장 많다. 북한도 고구마를 재배하고 있지만 생산량은 낮다. ... ...
- 엄마의 우울증이 자녀의 IQ에 끼치는 영향2018.04.29
- 이번 연구결과는 아동 발달과 관련한 국제 학술지 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 DNA서 염기 하나만 바꿔… 근위축증 앓는 생쥐 고쳤다동아사이언스 l2018.04.28
- 쥐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지난해 세계 최초로 염기교정 가위를 생쥐 배아에 적용한 데 이어 성체에 적용하는 데도 성공한 것이다.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 등 4개의 ... ...
- 세포 내 단백질, 원하는 대로 골라 염색하는 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고효율로 염색하는데 성공했다고 27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지금껏 널리 사용돼 온 형광염색법은 대장균에서 추출한 단백질인 ‘스트렙타비딘’과 비타민의 일종으로 체내에도 많이 존재하는 ‘바이오틴’ 분자쌍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스트렙타비딘과 바이오틴의 ... ...
- 관객은 공연자를 춤추게 한다...'청중'이 뇌에 미치는 영향 밝혀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사실도 밝혔다. 연구결과는 뇌과학 학술지 사회인지및감정뇌과학 20일자(현지시각)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20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엑스박스 키넥트나 위(Wii)와 비슷한 게임기를 훈련시켰다. 게임을 잘 하면 약간의 돈을 보상으로 받았다. 이 때 두 명의 구경꾼이 ...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2018.04.27
- 이들 기관에서 나왔다. 상위 과학자들은 대부분 독일, 중국 등 해외에서 거주하며 논문을 발표했다. *출처 : 과학동아 5월호 *자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2018.04.27
- 마그마방의 존재를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사진은 당시 촬영한 백두산의 모습. - Science Advances 제공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전인 946년, 백두산이 분화했다. 화산폭발지수 7(화산 분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8의 척도로 나눔) 규모의 폭발로 남한 ... ...
- “포항 지진, 지열발전 자극으로 유발 가능성”…논문 2편 ‘사이언스’ 게재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데이터, 위성자료 같은 활용 가능한 모든 자료를 총망라한다. 여 교수는 “이번에 발표된 논문 2편은 정부 출범 연구단과는 무관하다. 하지만 관련 연구진들에게도 연구 자료를 제공받아 참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같은 시뮬레이션 모델로도 암반의 ‘확산계수’ 특성에 따라 결과가 크게 ... ...
- 기억 저장되는 위치 찾았다...해마 속 일부 시냅스에 기록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중 일부에 저장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7일자에 발표됐다. 그동안 기억이 저장되는 뇌의 부위는 알려져 있었다. 좌우 측두엽에 존재하는 해마 부위가 기억 저장고다. 하지만 해마 내부 어디에 어떤 방법으로 기록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마치 기억이 ... ...
이전144714481449145014511452145314541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