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성적을 반영하지만 경희대처럼 자체 시험을 보는 곳도 있다.M.D.-Ph.D. 복합학위 과정*
기초
의학 과정을 마친 뒤 박사과정을 거치고 다시 임상의학 과정을 공부해 졸업과 동시에 의사자격(MD)과 이학박사 학위(Ph.D.)를 함께 수여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의사이면서 동시에 과학자인 인재를 양성해 의과학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든 것을 쓸어가 버린 지진해일의 흔적이 발견됐다.거대하고 공포스러운 지진해일의 정체를 추적하던 태국 출랄롱코른대 지질학과 크루원 잔카우 박사와 미국지 ... 과학자들의 이해를 도울 것”이라고 설명하며 “앞으로 닥칠 지진해일의 피해를 막는
기초
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카메라로 설명하면 학생들이 쉽게 이해한단다. 그가 지난해 책임지고 집필한 교재인 ‘
기초
전자물리학실험’에는 실험 준비물로 디지털카메라가 포함됐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과학을 쉽게 이해할까 고민했죠. 요즘 학생들은 디지털기기에 익숙해 디지털카메라를 잘 다루고 흥미도 ... ...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발표 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제시문의 내용, 수식, 도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에
기초
해 논제와 관련된 수리적·과학적 개념과 원리를 재구성하고, 이를 적용해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논리적·통합적 추론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했다. 2009학년도 정시 자연계논술 또한 이 방향을 그대로 따를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는 특유의 사회적 행위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도덕적 믿음에
기초
해 자신의 물질적 이득을 기꺼이 희생하는 자선기부 행위를 한다. 뇌는 왜 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걸까?미국 국립보건원 조단 그라프만 박사팀은 2006년 자선기부를 할 때 뇌에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임원진이 겸임교수로 생생한 선박 건조과정을 강의하고 있다”고 말했다.순천대
기초
과학부 생명공학전공과 식품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은 지역특화 브랜드 상품 개발을 주도해 화제가 됐다. 생명공학전공의 성치남 교수, 식품영양학전공 서권일 교수를 중심으로 20여 명의 교수, 학생, 산업체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창의성은 어느 날 갑자기 무(無)에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창의적인 인재가 되려면
기초
부터 차근차근 밟아나가야 합니다.” 이 단장의 ‘여유있는’ 실험실 방침은 사실 엄격한 자기관리를 요구하는 셈이다 ... ...
일본 과학기술 발전의 기둥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EJU 점수가 높아야 한다. EJU는 일본 대학에 입학을 원하는 학생에 한해 일본어능력과
기초
학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전공 분야마다 별도의 시험을 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재학중인 한국인 유학생은 약 150명이며 도쿄공업대는 최근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외국학생에게 ... ...
[IT]고대 로마가 구글어스에 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제작하기 위해 연구진은 ‘플라스티코 디 로마 안티카’라는 고대 로마 모형을
기초
로 삼았다. 고대 로마 모형은 1933~1974년 고고학자와 모형제작자가 만들었고 지금까지 로마문명박물관에 소장돼왔다.프로젝트를 이끈 버지니아대 버나드 프리셔 교수는 “가상 타임머신을 만든 새로운 시도”라며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분리하고 단백질을 추출해 결정을 만드는 쉽지 않은 작업이었죠.”결정을 만들고
기초
적인 분석을 마친 뒤 최 교수는 귀국했고 연구소의 동료들이 작업을 마무리해 논문을 1998년 ‘네이처’에 실었다.“다음 단계로 시각신호전달의 출발점이자 핵심인 빛수용체 로돕신(rhodopsin)의 구조를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