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뇌 vs 컴퓨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많이 다르다. 속도로 보면 컴퓨터가 압도적이다. 하지만 뇌는 복잡하고 다양한 뉴런(
신경
세포)의 연결로 느린 속도를 극복한다. 덕분에 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드웨어 측면에서 뇌와 컴퓨터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여유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신경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서
신경
계가 어떻게 정신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고 있다.쿤에 따르면, 하나의 패러다임 아래에서 중요했던 문제가 다른 패러다임 아래에서는 문제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가올 뇌과학 연구의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해지는 엄청난 충격을 흡수한다. 하지만 피부 아래로 파터-파치니소체(압각
신경
) 같은
신경
조직과 혈관이 밀집한 살아 있는 조직으로, 말보다는 사람의 발바닥과 많이 닮았다. 사람은 다른 동물에 비해 발바닥 패드가 얇다. 그래서 밑창이 얇은 신발을 신거나 맨발로는 오래 걷기가 힘들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꿈틀거리는 현상을 발견한 건 유명한 실험이죠. 이 관찰을 토대로 갈바니는 동물의
신경
계가 전기신호를 통해 작동한다고 추측했죠.과학에서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는 발생학이 아닐까요. 수정란에서 완전한 형태의 개체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적인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오래 달리기든 단거리든 스타트가 좋아야지. 박태환 선수가 수영할 때도 스타트에 많은
신경
을 써. 네가 정말 최고가 되려면 습관을 바꿔야 해.”공부하는 시간을 재면서 공부하는 것도 좋다.K학생은 영어 성적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저는 외우는 걸 잘 못해서 어휘능력이 좀 떨어지고요. 읽는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난청인 사람이나 전혀 들을 수 없는 사람에게 청각을 제공하는 ‘인공와우장치’는 감각
신경
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인공전자장치다. 이 장치를 이식하면 청력손상이 심해 보청기 등 청각 보조도구를 써도 잘 듣지 못하는 사람들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 장치를 이식하면 내부장치를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거예요. 부럼을 먹으면 부스럼도 막고 이도 튼튼하게 할 수 있거든요. 올해는 건강에
신경
좀 쓰려고요. 지구 정복은 언제 하냐고요? 음하하하. 걱정마세요. 거인으로 변신하려고 이미 골리앗 개미에게 그 비법을 알아보고 있거든요. 내가 거인이 된다면 지구 정복은 식은 죽 먹기…. 음하하하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해요검은콩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해서 피부나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요.찹쌀멥쌀보다 식이섬유가 두 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소화가 잘 돼요. 우주인에게 딱 맞는 오곡밥!지금까지 개발한 우주 식량은 400가지가 넘어요. 같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없는 걸까요?초기의 바퀴는 돌 또는 통나무를 잘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물론 타이어는
신경
쓸 겨를도 없었지요. 하지만 사람들은 서서히 이 바퀴에 불편을 느낍니다. 지금이야 대부분 도로가 잘 포장돼 있지만, 아주 오래 전에는 울퉁불퉁한 길 뿐이었을 테니까요. 나무 바퀴가 계속해서 험한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청소년들은 더 감정적이 되고 보상이나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흥분성
신경
전달물질의 우세와 도파민 활성의 증가는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이 폭력, 흡연, 음주, 성관계 등 위험한 행동에 쉽게 빠져드는 현상을 설명해준다.한편 뇌 발달 과정은 유전자의 프로그램에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