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물품
물건
화공약품
생산물
d라이브러리
"
제품
"(으)로 총 3,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3. 나도 이런 디자이너가 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독특함 속에 사용자가 재미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을 한다. 그가 디자인한
제품
들은 실용성과 작품성을 고루 갖춰 수많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으며 21세기의 가장 위대한 디자이너로 존경받고 있다.론 아라드독특하고 감각적인 가구와 실내 디자인으로 유명한 영국의 디자이너.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대해 관능(官能)을 갖는 과정을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이 느끼는 복잡한 심리를
제품
의 디자인에 투영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석 앞 유리를 넓히느냐 좁히느냐에 따라 스포츠카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거나 정반대로 보수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또 엔진소리를 조율해 소음을 고성능의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먹는 샘물 용기의 표시 기준을 개정해 수원지를
제품
명 밑에
제품
명의 3분의 1 크기로 표기하도록 했다. 소비자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서다. 그러나 수원지를 꼼꼼히 확인하고 생수를 사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기에 생수업체의 그럴듯한 광고에 넘어가기 쉽다. 생수의 ... ...
꼭꼭 숨은 금속 찾아내는 맴돌이 전류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간편한 휴대용 금속탐지기는 1931년 미국의 게르하르트 피셔가 만들어 특허를 얻은
제품
이 시초다.금속탐지기는 어떻게 금속을 찾는 걸까. 덴마크의 한스 외르스테드는 1820년 나침반 위에 도선을 놓고 전류를 흘리면 나침반 바늘의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처음 발견했다. 그는 대중강연을 할 때 항상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1. 다양한 디자이너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경영’을 선언한 기업이 나올 정도로 산업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제품
의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과학 지식도 풍부해야 한다편집 디자이너책이나 신문, 잡지를 독자들이 보기 편하게 디자인한다. 아무리 글이 재미있어도 편집디자인이 잘못되면 독자는 잘 읽지 않는다. ... ...
40년 정밀화학계 기술리더 이부섭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경쟁력을 갖추고 휴대전화 카메라의 원가를 낮추는데 크게 기여했다. “100년 갈
제품
개발하고파”이 회장이 화학과 인연을 맺은 때는 1954년 광화문 천막학교 시절이다. 경기중학교에 들어가자마자 1950년 한국전쟁이 났고 전쟁이 끝나자 광화문에 천막학교가 설치됐다. 그는 “고2 때 ... ...
인터넷은 ' 부익부 빈익빈'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네트워크를 연구한다. 인터넷의 지형도, 바이러스의 유행, 20/80의 법칙, 신경세포의 연결,
제품
의 마케팅전략이 정 교수의 연구대상이다. 생물학자나 경제학자도 아닌 물리학자가 이들 문제를 연구할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멱함수 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성인 남성을 키 순서대로 줄을 ... ...
과학자들의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하나로 전하결합 소자라 한다 기억 또는 논리회로로 사용컴퓨터에 의한 통합생산시스팀
제품
의 모양결정에서 설계·생산·검사·반출에 이르기까지의 정보를 컴퓨터로 통합·처리하는 방식컴퓨터에 의한 수치제어로서, 수치제어기능이 내부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존하는 것다품종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아니다. 생리대는 여성 생식기와 맞닿아 있으며, 여성의 몸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제품
이다.박 교수는 “여성의 생리와 생리대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던 이유는 생리를 자신 있게 드러내지 못하는 사회 분위기 때문”이라며 “‘생리대’라고 자신 있게 외칠 수 있을 때 여성의 건강을 생각하는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빠지는 이유다. 연구가 상용화되면 부작용을 100% 없앨 수는 없지만 문제가 크게 완화된
제품
을 국내 업체가 생산하게 된다. 학교와 업계를 넘나들 ‘멀티 플레이어’로 변신할 서 교수. 핵심인재의 활용이라는 기치를 내건 그가 새로운 성공모델을 제시하길 기대해본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