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등 전염병에 취약해요. 전염병을 막기 위한 특별한 예방접종이 없기 때문에 주변의 야생새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또 새장 위생관리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 주세요. 새가 마시는 물과 사료는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고, 새장은 매일 치워 주는 것이 좋아요. 여러 마리 중 한 ... ...
- [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시설을 점검하기 위해 드론 ‘디바’를 사용하고 있어요. 디바는 시시각각 활주로 주변을 날아다니며 활주로에 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해요.항공기의 비행을 돕는 시설을 점검하기도 해요. 관제탑은 출발하는 공항부터 도착하는 공항까지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화가’라 하면 보통 미술관에 걸린 각양각색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떠올려요. 그런데 야생의 식물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가 있어요. ... 얘기해 주셨어요. 산속 깊은 곳의 들꽃부터 길가의 가로수까지, 오늘부터 우리도 주변에 있는 식물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관찰해 보면 어떨까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돋보기지요. 우주에도렌즈가 있어요. 먼 천체에서 나온 빛은 무거운 질량을 가진 천체 주변을 지나가면 휘어져요. 이런 빛을 지구에서 관측하면, 마치 렌즈를 통과한 것처럼 천체가 더 밝아 보이지요. 천문학자들은 이를 ‘중력렌즈 효과’라 부른답니다. 전반사는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빛을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자연계에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해요. 1812년 독일의 지질학자 모스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물을 서로 긁어 보며 상대적인 굳기를 비교해 1부터 10까지 나타냈어요. 이 중 다이아몬드는 굳기 10으로, 다이아몬드에 흠집을 낼 수 있는 건 같은 다이아몬드밖에 없답니다. 그래서 채굴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코딩의 개념을 익혀 보세요! 함수코딩으로 여러 명령을 한꺼번에!코딩펫 밀키를 주변 사물에 갖다 대면 색깔에 따라 다른 음을 내요. 여러 종이카드를 이용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지요. 그런데 밀키는 앞으로 가고 왼쪽으로 도는 등 움직일 때마다 종이카드를 일일이 대야 하는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연구팀은 “수천 년에 걸쳐 다이아몬드 비가 천천히 내리면서 천왕성과 해왕성의 핵 주변에 두꺼운 층을 이뤘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나노 다이아몬드 구름에 둘러싸인 별이 있다?올해 6월에는 영국 카디프대학교 연구팀이 다이아몬드 띠로 둘러싸인 외계 항성계를 발견했어요. 20여 년 전부터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들이마시고 손으로 코를 막으렴!”이 말을 남긴 채 아저씨는 모래 속으로 사라졌어요. 주변엔 파도가 몰려오고 있었지요.“엇! 아저씨가 모래 속으로 사라졌어!”“저기 봐! 해안에서 바다로 바닷물이 빠져나가고 있잖아?!” [미션 카드] 이안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라! [통합과학 개념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했지요.“하늘소는 꽃이나 나뭇잎의 수액을 먹어요. 그래서 꽃이 피는 시기엔 꽃 주변에 많이 모여 있고, 나뭇잎 위에도 자주 앉아 있지요. 높은 나무에 있는 하늘소는 찾아내기 어려운데, 한 가지 팁을 알려드릴게요. 가만히 나무 잎사귀를 올려다보면 하늘소의 그림자가 보여 쉽게 찾아낼 수 ... ...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예측대로 전국이 모두 아열대 기후로 변하면 어떻게 될까요? 가장 큰 변화는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에 사는 생물들에게서 나타날 거예요. 이런 징후는 벌써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지요. 아열대 지역에서만 살던 바다 생물들이 한반도의 바다에 나타나는가 하면, 따뜻한 남쪽에서 살던 식물들이 점차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