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그동안 상하수도 시설이 망간산화물 때문에 막혔다는 사례가 종종 있었는데 그 원인이
처음
밝혀진 것”이라면서 “앞으로 해저 망간단괴의 생성과정을 밝히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답니다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정자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정자를
처음
관찰한 지 약 350년 만이지요.지난 7월 31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헤르메스 가델하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정자가 몸 전체를 회전하며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가델하 교수팀은 1초당 5만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2개 혹은 3개씩 모여 만든 입자를 ‘강입자’라고 부르지요. 양성자와 중성자처럼요.
처음
가속기 실험을 했을 때 발견된 새로운 입자들도 강입자인데, 일상에선 발견할 수 없고 높은 에너지의 입자가 충돌할 때만 생겨나요. 이들은 에너지가 요동치던 초기 우주에 있었을지도 모르죠.그렇다면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수정해 공연에 선보였습니다.인공지능 마디의 춤은 어떤 모습일까요? 신 안무가는 “
처음
무용수들은 동작을 하나하나 짧게 끊어서 움직이는 뻣뻣한 로봇 춤을 예상했지만, 마디의 춤은 움직임이 굉장히 부드러웠다”고 말했어요. 이어 “이처럼 인공지능을 현대무용에 접목해 작품을 선보인 건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매겨져 있어요.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예요. 히파르코스는 하늘의 별을 관측하다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들을 6등급으로 구분했답니다.이후 19세기 영국의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정말로 중요해졌죠.그래서 1840년 11월, 철도 회사 ‘그레이트 웨스턴 레일웨이’에서
처음
으로 모든 역에 똑같은 시간을 쓰기로 했어요. 정확한 시간을 잴 수 있는 설비가 마련된 런던 근교의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측정한 시간을 전신기로 각 기차역에 전달했지요. 이후로 다른 철도 회사도 그리니치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오랫동안 여러 대의 키블 저울을 만들며 성능을 높여왔죠. 우리는 지금 만든 저울이
처음
이라 개선할 점이 많아요. 올해 하반기부터는 키블 저울 2호기의 구조를 차근차근 만들어 보려고요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소리모아와 제비 탐사 첫 현장교육이 열렸어요. 코로나19에 대비해 운영진은 대원들과
처음
만나자마자 체온계부터 들이미는 등 안전하게 교육을 진행했죠. 지사탐 대원들과 자연 속 소리꾼들의 만남의 현장으로 함께 떠나 볼까요? 새들도 사투리를 쓴다?!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방법을 제시했어요. 미야코 박사는 놀랍게도 비눗방울을 이용했어요. 미야코 박사는
처음
엔 4cm 크기의 작은 드론을 이용해 식물의 수분을 돕는 연구를 했어요. 하지만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드론의 날개 때문에 꽃이 손상되곤 했지요. 그러던 어느 날 놀이터에서 아이가 비눗방울 놀이를 하는 ... ...
[가상인터뷰] 말랑말랑한 공룡알도 있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이들이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살펴봤어. 그 결과 공룡과 도마뱀을 비롯해 많은 집단이
처음
에는 말랑말랑한 알을 낳았던 것으로 밝혀졌지. 또, 연구팀은 말랑말랑한 알을 낳는 공룡은 파충류처럼 축축한 흙이나 모래 속에 알을 낳고 위를 덮은 나뭇잎이 썩으면서 나오는 열로 부화를 시켰을 것이라고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