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3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의전원' 설립의지 공식 피력한 KAIST…"의료계와의 대화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12일 KAIST는 보도자료를 내고 과기의전원 설립 필요성과 함께 설립계획을 밝혔다. 풍부한
공학
적 자원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바이오의료 환경에 대응하는 인재를 키워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KAIST가 기관 차원에서 보도자료를 통해 과기의전원 설립 계획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하일 ... ...
[레디!퓨전] 韓 주도 세계 최대 핵융합실험로 현장 가보니…"퍼스트무버 시행착오 감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캐서린 맥카시 미국 ITER 프로젝트 책임자는 최근 영국 옥스퍼드에서 열린 ‘핵융합
공학
심포지엄 2023(SOFE 2023)’에서 "부품결함이 연구팀의 예상을 뛰어넘을 만큼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라며 “당초 2026년 예정됐던 플라즈마 생성실험은 다소 지연되겠지만 중수소와 삼중수소(DT)를 결합해 에너지를 ... ...
[과기원NOW] 포스텍, 홍채 인식 기술 상용화 앞당기는 ‘전자 공여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유기 포토다이오드를 구현한 정대성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정대성 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전자 수용체 없이 광증폭형 유기 포토다이오드(PM-OPD)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 수용체 대신 소자에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퍼플루오로아렌 광가교제 ... ...
한우 표준유전체 구축…한우만 갖는 특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아시아 소(Bos taurus)는 그동안 공개된 표준유전체가 없었다. 서울대는 김희발 농생명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최초로 한우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척추동물 유전체 프로젝트(VGP)에서 쌓은 표준유전체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한우 유전체 연구 기반이 될 표준유전체를 ... ...
이나영 한국원자력통제연구원 신임 원장 취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밝혔다. 대표적인 핵비확산 및 핵안보전문가로 꼽히는 이 원장은 서울대 원자핵
공학
과에서 석 ·박사를 마치고 KINAC에서 통제정책실장, 미래전략실장, 교육훈련센터장, 핵안보본부장 및 핵비확산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KINAC은 지난 8일 이사회를 개최해 원장 선임을 의결했다. 이 원장의 임기는 ... ...
KAIST, 미국 뉴욕서 첫 테크페어 개최…"기술 실증, 투자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자동화 장비 및 솔루션으로 햄버거의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 진출한다. 황건필 전기및전자
공학
부 졸업생이 창업한 로봇 키친 스타트업으로 로봇제어·설계·인공지능 인지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햄버거 패티를 자동으로 조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버튼만 누르면 설정된 조건에 맞춰 일정한 ... ...
그 거리 떠올리면 '그 사람' 기억이...뇌질환 치료 단서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기억상실증 등을 치료하는 데 쓰일 수 있습니다.” 에드먼드 롤스 영국 워릭대 컴퓨터
공학
과 교수는 6~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26회 한국뇌신경과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KSBNS 2023)’에서 기조 강연을 통해 인간이 장소를 기억하는 특별한 능력이 어디서 생겨나는지 알아내는 일은 뇌 질환을 ... ...
[주말N수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09.09
잘 맞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암호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컴퓨터
공학
과 전자
공학
등을 접목해 어떤 기술을 만들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학원에 들어가 암호학을 전공해 동형암호에 관한 주제로 졸업논문을 작성했습니다. 마침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에서도 ... ...
"예비·신진 뇌신경 과학자 위한 ‘지식 소통’ 창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3.09.08
다시 찾아보는 기회도 마련됐다. 6일 기조강연에 나선 에드먼드 롤스 워릭대 컴퓨터
공학
과 교수의 ‘장소 세포’에 대한 강연 이후 롤스 교수의 논문을 새롭게 찾아보는 과학자들이 있었다는 것. 롤스 교수의 연구 업적은 이후 장소 세포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 ...
돼지 몸에서 길러낸 사람 신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9.08
거부 반응 없는 이종 간 신장이식을 시도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 생명
공학
기업 옵티팜은 최근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원숭이를 221일간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에선 DNA 단편을 생명체의 유전체 안에 삽입해 새로운 유전형질이 발현되도록 한 형질전환 돼지가 사용됐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