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뉴스
"
글
"(으)로 총 1,61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 눈]‘우주인 트라우마’ 모른 척 하는 정부
과학동아
l
2014.06.26
굳혔다. 본보의 보도를 통해 이 소식이 알려진 뒤 온라인에는 이 박사를 비난하는
글
이 늘고 있다. 일부 언론은 이 박사를 두고 ‘먹튀’라는 표현을 쓰며 원색적인 비난도 서슴지 않았다. 사실 이 박사가 본보에 보낸 장문의 e메일에서 가장 우려한 점도 이런 부분이었다. 현재 이 박사는 사실상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물고기의 지능에 대해 느끼는 것과 과학의 실체 사이의 차이도 원인의 하나”라며
글
을 시작한다. 물고기가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건 우리나라나 서구나 마찬가지인가보다. 호주 맥쿼리대 컬럼 브라운 교수는 최근 학술지 ‘동물 인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물고기의 인지능력에 대한 최근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실천하기 쉽지 않은 격일제 단식과 8시간 다이어트(생각해보니 지난 2012년 한
글
판이 출간돼 큰 반향을 부른 나구모 요시노리 박사의 ‘1일1식’은 칼로리제한이 아니라 간헐적 단식으로 봐야 할 것 같다) 보다는 저자들이 직접 해보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다고 확신한 5:2 다이어트를 소개하고 있다.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코코란 교수는 “앞으로도 각종 퇴적물이 플라스틱에 점착하는 방식으로 플라스티
글
로머럿의 밀도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 “암석이 바람이나 물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한 지역에 꾸준히 매장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래이첼 오바드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팀이 추출해낸 얼음 코어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발표했지만 다른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에 아직은 때 이른 감이 있다. 필자들은
글
후반부에서 암흑물질의 후보를 좀 더 확대해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뿐 아니라 좀 더 ‘따뜻한(warm)’, 즉 입자의 속도가 다소 빠른 암흑물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여기에는 ... ...
[영상뉴스] 해저 보행로봇 ‘크랩스터’ 30일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14.05.27
책임연구원은 크랩스터를 현장에서 철수하면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같은
글
을 남겼다. 일부에선 크랩스터를 놓고 ‘비싼 돈을 주고 개발했지만 효용성은 크게 떨어졌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하지만 크랩스터는 본래 구조작업용 로봇이 아니라 해저탐사용 로봇이다. 그럼에도 크랩스터 팀은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습관은 제2의 천성으로 제1의 천성을 파괴한다. - 블레즈 파스칼 단어 가운데는 본래 가치중립적이지만 쓰임새는 한 쪽에 치우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냄 ... 버려야 하겠지만 어쩌겠는가. 바로 좀 전에도 점심을 먹고 바둑 한 판을 둔 뒤(졌다!) 지금
글
을 마무리하고 있는 것을. ... ...
머리 쓰다듬으면 사랑 싹트는 ‘터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4.05.23
데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논문 저자인 프랜시스 맥
글
론 영국 리버풀존무어대 박사는 “자폐증 환자의 경우 CT수용체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진 만큼 CT수용체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중력파가 맞다” vs “노이즈다”,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20
공명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에 ‘바이셉은 틀렸는가(Is BiCEP Wrong?)’라는
글
을 올리면서부터다. 그는 여기서 “우리 은하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를 바이셉2 연구팀이 과소평가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 근거로 이달 6일 발표된 플랑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들면서 우리 은하의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소개
글
의 제목 ‘여전히 끝나지 않은 경주(A Race Still Unfinished)’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글
들을 읽어보면 유방암이 만만치 않은 적수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특집의 계기가 된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1과 이듬해 발견된 또 다른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2를 합쳐도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