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뉴스
"
핵인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빛 2호기 재가동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전남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에 위치한 한빛 원자력발전소. - 연합뉴스 지난달 운영 중 가동을 멈춘 한빛 원전 2호기가 안전성 점검을 마치고 재가동에 들어간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24일 계획예방정비를 마치고 임계 후 발전소 기동과정에서 증기발생기 3대 중 1대의 수위가 낮아 ... ...
머릿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지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신희섭 단장(교신저자)과 백진희 연구원(공동제1저자). IBS 제공 눈앞에서 끔찍한 사건을 목격했을 때나 가장 친한 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때처럼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는다. 당시에 느꼈던 공포와 불안감을 다시 느끼는 것이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트 ... ...
유석재 핵융합硏 소장 ”플라즈마 1억도 달성은 두 번째 마일스톤 넘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장.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지난해까지만 해도 핵융합 연구는 ‘꿈의 인공태양’이라고 불렸습니다. 이제 꿈에서 깨어난 상태로 봐야 합니다. 그만큼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 달성은 핵융합 연구에서 큰 이정표를 세운 것입니다.”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은 ...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첫 이온온도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핵융합에너지를 만드는 태양을 지구에서 구현하는 ‘인공태양’의 상용화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국가핵융합연구소가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연구를 위해 개발한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가 플라즈마 중심 이온온도를 ... ...
[Science토크]경제성 불투명하다는 수소경제 성공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월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울산에서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비전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사람 세포를 나타낸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사람 세포의 크기는 대개 100㎛(마이크로미터) 안팎이다. 만약 이 세포의 크기를 10배 가량 부풀리면 어떻게 될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과학자들이 실험을 통해 세포 크기의 비밀을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온라인판 7일자에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V883 Ori 주위를 돌고 있는 원시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원반은 바깥쪽은 차갑기 때문에 먼지입자들이 얼음으로 덮여있다. 이번 ALMA 관측을 통해 원반에서 물이 승화하는 경계면인 '스노우 라인' 근처에서 다양한 유기분자 방출을 확인했다. -사진 제공 일본국립천문대 지구 생명의 근간이 된 물과 유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육량이 줄어드는 속도를 늦추는 게 건강관리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pixabay 제공 미국 터프츠대의 의학자이자 영양학자인 어윈 로젠버그(Irwin Rosenberg) 교수는 1989년 국제학술지 ‘미국임상영양학저널’에 전년도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서 열렸던, 노년의 건강과 영양의 측정을 주제로 한 학술모임 ... ...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
과학동아
l
2019.02.04
특정 후각 수용체 유전자(Olfr17)를 발현하는 세포(녹색)가 쥐의 후각 상피 곳곳에 흩어져 있다. 400여 개에 이르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가 세포마다 무작위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Kevin Monahan, Adan Horta 제공 미국 연구진이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후각의 비밀을 푸는 데 성공했다. 스타브로스 롬바르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사이언스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표지에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얼굴이 새겨진 화학원소 주기율표를 실었다. 올해는 주기율표가 탄생한 지 150주년이 되는 해다. 필립 쓰로미 사이언스 편집장은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적인 영역에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