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자"(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의 아름다운 의지, 유전자의 한계를 극복하다. 가타카(GATTACA, 1997)IBS l2016.04.04
-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충분한 의견 교류가 필요하고, 유전자 교정 기술도 인간의 삶에 이로운 기술이 되도록 발전시켜야겠죠.” 이 연구위원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은 옳고 그름에 대한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실험동물들의 의사결정과 기억에 관한 연구가 한창이다. - IBS 제공 최근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으로 치상 부위가 손상된 생쥐를 만든 뒤, 특별하게 제작된 수중 미로에 넣고 생쥐의 행동을 관찰했다. 수중 미로 속에는 물에서 나와 쉴 수 있는 도피대가 숨겨져 있는데, 물에 빠진 생쥐들이 도피대의 ...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2016.03.07
- 것이다. 그러나 이 현생인류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사라지거나 숫자가 미미해 현대인의 유전자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아마도 이 현생인류는 네안데르탈인에 밀려 몰락했을지도 모른다. 흥미롭게도 최근 현생인류가 생각보다 앞서 아프리카를 벗어났다는 증거들이 속속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GMO 논란을 피해갈 수 있고 부모의 유전자에 결함이 있을 경우 배아 상태에서 정상 유전자로 편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미래에는 맞춤형 아기가 태어날 것’이라는 예측기사가 있었는데 게놈편집기술이 등장하면서 정말 가능한 일이 됐다. 인간의 생식(reproduction)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발견되기도 한다. ATAD5 유전자의 이상발현이 암 유발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유전자 ATAD5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면 암을 진단하는 바이오 마커로 사용할 수도 있다.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에서도 뇌 활동에 대한 지도를 그리는 과정에서 바이오마커를 활용하고 있다. 연구단은 최첨단 ...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소두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MRI 비교 사진은 유전적 결함(ASPM 유전자 돌연변이)으로 인한 소두증(오른쪽) 사례이지만, 지카바이러스 감염으로도 소두증이 유발될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위키피디아 제공 Q4. 지카바이러스는 정말 소두증을 일으키나?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단지 세 곳’의 변이만 있으면 암세포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 논문 자체는 유전자 변이로 암이 생기기 쉽다는 주장이지만, 한 세포에서 ‘세 곳이나’ 임의의 변이가 생길 확률은 높지 않다. 결국 데이터 재해석과 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암 발생에서 임의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2016.01.06
-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즉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있다는 말이다. 데이비슨은 동료 이사벨 피터와 함께 쓴 책 ‘Genomic Control Process(게놈조절과정)’을 지난 2월 출간했는데, 결국 그의 유작이 됐다. ※ 필자소개 서울대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2016.01.04
- 생길 경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뀔 수 있음을 보였고 실제 사람의 암세포에서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음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후 마셜은 N-Ras를 포함해 Ras 단백질이 관여하는 신호전달이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어떻게 다른지 분자메커니즘 차원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즉 세포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2016.01.03
- 일어나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발현량이 늘어 작용이 강화되면서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다. 이후 홀은 라스 단백질과 이와 관련된 Rho, Rac, Cdc42 같은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이들이 세포 내 골격인 액틴의 조립과 세포 운동성 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93년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