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초원의 말들을 유심히 관찰했고 마침내 1879년 그 야생말을 발견한 것이다. 1881년 생물
학자
폴리아코프는 이 말의 학명을 발견자 프리제발스키를 기려 ‘에쿠스 프르제발스키(Equus przewalskii)’라고 명명했다. 그 뒤 이 말은 프리제발스키 말 또는 몽고야생말(Mongolian wild horse)로 불린다. 프르제발스키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양자역학의 주류가 됐다. - 브라이언 드러커 제공 다음은 20세기 가장 위대한 물리
학자
로 꼽히는(나치에 협력한 치명적인 오점은 있지만) 하이젠베르크가 보어에게 보낸 한 편지에서 발췌한 부분이다. “제가 물리학에 대해 작으나마 기여할 수 있었던 것도 대부분은 제가 코펜하겐의 분위기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
KOITA
l
2013.07.02
보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했으며 장애학생들이 제품을 시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인류
학자
가 참여하여 학생들이 게임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관찰하고 제품 개선 활동을 수행했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은 탈 추격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혁신 모델이다. 그동안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생명체가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화
학자
들은 열심히 화합물을 합성했고 생물
학자
들은 이를 암 모델 동물에 적용해 약효와 부작용을 조사했다. 5년여에 걸쳐 만든 화합물 가운데 CGP-57148B라는 일련번호를 붙인 약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는데, 이 약물은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일으키는 Bcr/Abl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
2013.06.25
ICT가 담당했던 역할을 제6차 파동에서는 무엇이 대체하게 될 것인가? 핀란드 미래
학자
마 르쿠 윌레니우스(Marrku Wilenius)는 자원생산성(Resource Productivity)이 핵심 이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에너지와 원자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만이 제6차 장기파동을 성장 으로 이룰 수 있는 유일한 ...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한 천재 물리
학자
아이작 뉴턴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우선권 논쟁'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의 상대는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라는 독일
학자
였다. 1675년 라이프니치는 자신이 독자적으로 고안한 미적분법을 발표했다. 하지만 뉴턴은 미적분은 자신이 먼저 고안해낸 것이라고, 라이프니치가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했다. 사실 뉴턴은 이미 기적의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관련해서는 주목받지 못하고 있었다. 1975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실은 글에서 신경
학자
로돌포 리나스(현 뉴욕대 의대 교수)는 “소뇌가 운동을 조직하는 핵심 조절센터라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쓴 바 있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은 이때의 결론인 셈이다. 그런데 20여 년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
KAIST
l
2013.06.10
산업들을 일으킬 수 있는 성장 동력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
학자
로서 좋은 논문을 쓰고, 논문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며 논문을 인정받는 것이 좋은 연구이다.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전기및전자공학과의 입장에서 보면 산업체와 연계해서 좋은 영향을 주는 것 또한 좋은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그것도 필자의 입장에서! 알고 보니 엔코드의 주장이 지나치다고 생각하는 생명과
학자
들이 꽤 되는 듯하다. 두리틀 교수는 동물의 예를 설명하면서 사람만이 정크DNA가 쓰레기가 아닌 예외적인 존재라는 건 ‘게놈 인간중심주의(genomic anthropocentrism)’이라고 꼬집었다. 즉 폐어의 경우 게놈 크기가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되면서 논문 인용 횟수가 3,200회를 상회하고, H-index(H-index : 물리
학자
Jorge Hirsch에 의해 고안된 지표로 특정 저자가 출판한 문헌의 수와 그 문헌의 피인용 관계를 의미하는 지수이며,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의 양적·질적인 측면을 수치화해서 볼 수 있어 객관적인 업적 평가가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