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뉴스
"
내
"(으)로 총 14,797건 검색되었습니다.
설탕물 하나면 뇌를 투명하게...3D 뇌지도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과당용액이 세포
내
의 단백질들과 생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SeeDB'라는 방법은 과당용액을 이용해 3일만에 뇌를 투명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가장 빠르고 ... ...
계모도 부러워한 조선의 풍운아 '방원'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태조 7년(1398) 중신 정도전, 남은 등을 살해하고, 이어 강씨 소생의 방석과 방번을 귀양 보
내
기로 했다가 도중에 죽여 버린다. 이것을 ‘제1차 왕자의 난’이라 하며 방원은 이때 세자로 추대되었으나 이를 동복형인 방과(이후 정종)에게 양보한다. 이보 전진을 위해 일보 후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 ...
이웃별에서 지구 닮은 행성 찾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ESA)의 가이아 우주망원경, 유럽남반구천문대(ESO)의 VLT 등이 동원될 예정이다. 이르면
내
년 10월 프록시마 주변에 지구를 닮은 행성이 돌고 있는지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또 지구형 행성이 발견된다면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도 기대해볼 만하다. 물론 프록시마 같은 적색왜성 주변에 있는 지구형 ... ...
한 밤 중 갑자기 ‘짜파구리’가 땡기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시작해서 라면으로 책이 끝나지만 이 책은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궁금해 할만한
내
용을 풀어주는 과학 서적이다. 그래서 책장에 항상 꽂혀 있어 부담없이 펴보게 된다 ... ...
동아일보 고교평가 상위학교, 수능성적도 좋았다
동아일보
l
2013.06.21
수능 성적의 분석 결과는 상당히 비슷하다. 학교 유형을 기준으로 시도별 수능 성적 30위
내
에 든 일반계 고교는 대부분 동아일보 고교평가에서도 상위 20위에 포함된 곳이었다. 시도별로 상위권을 차지한 학교는 수능 성적 역시 높았다. 시도별 고교평가 순위에서 1, 2위를 차지한 학교가 수능 ... ...
“MIT 대신 KAIST 선택, 당연하죠”
동아일보
l
2013.06.21
명문대가 과학도들의 선망의 대상이지만 학비와 생활비가 많이 든다”며 “KAIST는
내
가 연구할 전자공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고 장학금과 생활비 지원도 받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기욤 씨는 파리에서 나고 자란 파리지앵(파리 사람). 고교 졸업 후 극소수 영재만 입학하는 그랑제콜 ... ...
신규 주파수 할당 5가지 경매안 공개
동아일보
l
2013.06.21
폭 주파수를 경매에 올릴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미래부는 21일 공청회를 열고 다음 주
내
로 경매 방안을 확정지을 예정이다. 정부가 마련한 경매방안은 모두 5가지다. 핵심은 현재 KT가 갖고 있는 1.8GHz LTE 주파수 대역에 딱 붙어 있는 D블록의 경매방식이다. 정부는 주파수 대역을 산업단지의 토지를 ... ...
지구별엔 자체발광 바퀴벌레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훼손한 주범이다. ‘달팽이 먹는 뱀’은 독사인 산호뱀의 껍질 색과 무늬를 흉
내
내
적의 공격을 피하지만 실제로는 지렁이나 달팽이를 먹고 사는 순한 뱀이다. 고대 현악기 ‘리라’처럼 생긴 바다 생물 ‘리라 스펀지’는 태평양 심해 3.4km에서 산다. 보기와 달리 육식성이며, 수중 생물의 ... ...
전깃줄 감은 나무 원통이 식탁?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한국인으로서 이 책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며 “국
내
정책과 산업계가 지속가능공학기술을 적극 활용해 지구 환경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 산업화 과정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술사업화 과정을 단축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내
년부터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를 운영하겠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프로젝트 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공고도 함께 했다. 기존에는 연구개발(R&D)과 시장창출을 위한 기술사업화 과정이 따로 ... ...
이전
1456
1457
1458
1459
1460
1461
1462
1463
1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