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107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02
수 있고, 음성을 통해 명령이 로봇에게 직접 전달돼 동작을 실행할 것이다. 또 팔과
다리
에 부착된 센서로 인해 움직임이 직접 격투게임의 동작으로 나타나므로 게임을 위해 몸을 열심히 단련하는 일이 필요할지 모른다. 마이크와 헤드폰을 통해 하루종일 컴퓨터와 대화를 나누며 센서카메라를 ... ...
심해 5천m에 새로운 오징어 발견
과학동아
l
200201
심해 5천m에서 사는
다리
가 7m에 달하는 특이한 모양의 오징어가 사이언스지 12월 21자에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 오징어는 1998년 대서양 서부 4천7백32m의 심해에서 ... 이를 촉완이라고 하는데 먹이를 잡는 손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새로운 오징어는 10개의
다리
가 모두 가늘고 길이가 비슷하다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01
훨씬 줄어든다. 잔디 자체가 완충제 역할을 해 선수가 태클이나 슬라이딩을 할 때 발목과
다리
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잔디구장에서는 선수가 볼을 컨트롤하기 쉽다. 흙구장은 표면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볼이 땅에 닿았을 때 전혀 예상치 않은 방향으로 튈 수 있다. 잔디구장에서는 상상할 수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01
무게중심이 높아지고, 그래서 몸을 띄우는데도 훨씬 더 수월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긴
다리
가 높이뛰기에 유리하다. 달리는 거리가 멀수록 가벼워져그렇다면 예전의 선수들도 지금의 선수들과 같이 종목마다 독특한 특성을 가졌을까. 여기서 우리는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선수들이 ... ...
쫄깃쫄깃한 면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1
gluten)이라고 한다. 밀가루와 물을 혼합해 반죽하면 글루텐 분자 간에 마치 사슬과 같은
다리
결합이 생겨나 일종의 그물 구조를 형성한다. 면이 쫄깃해지는 것은 이런 구조 덕분이다. 쌀에는 글루텐이 없기 때문에 반죽을 할 수가 없다. 쌀이 밥이나 떡으로만 이용되고 빵이나 국수, 만두 등 반죽이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1
즉시 바꿔야 한다. 부츠와 바인딩 외에도‘리쉬코드’라는 끈이 필요하다. 이 끈은 앞
다리
와 바인딩에 연결돼, 넘어졌을 때 보드가 분리돼는 것을 막아주는 일종의 안전끈이다.한편 김준범 스노보드연구소에서는 2001-2002 시즌에 불우스노보더돕기 행사를 개최한다. 스노보드에 대한 열정이 ... ...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01
발휘한다.말은 종류에 따라
다리
를 움직이는 방법이 약간 다르다. 포니는 달릴 때에
다리
를 한꺼번에 높이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한다. 껑충껑충 뛰는 것이다. 경종마는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걷기 때문에 한걸음에 앞으로 많이 나갈 수 있다. 반면 중종마는 걸을 때 무릎을 완전히 구부린다. 이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01
것 중에는 번데기와 메뚜기가 있다. 좀더 범위를 확장시키면 곤충은 아니지만 새우 역시
다리
가 열개 달린 갑각류로 절지동물에 속한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꼽히는 침팬지는 개미를 즐겨 먹는다. 곤충을 먹는 행위는 절대로 비정상적이지 않다. 그러나 이제 갓 무인도 생활을 시작한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12
보호한다. 그러다 다른 애벌레가 자신의 구역에 침입하면 처음에는 노처럼 생긴 뒷
다리
로 나뭇잎을 긁어 진동음으로 경고 메시지를 보낸다. 침입자가 더 가까이 접근하면 입으로 나뭇잎을 긁어 짧고 강한 소리를 계속 만들어낸다. 그들은 나뭇잎의 진동을 통해서 서로의 소리를 인식하는 것 같다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12
올린다. 그러나 갑자기 스피드를 올리거나 심하게 운동하면,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고
다리
에 부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육상선수가 봄에 가장 많은 부상을 입는 이유도 갑작스럽게 스피드를 올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겨울 동안 1km를 7분 걸리는 페이스로 달렸다면, 봄에는 6분30초, 6분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