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1,6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04
발생한다. 전좌형 아기를 낳은 부모는 염색체검사를 꼭 받아야 하는데 보통 양친중 어느
한쪽
에서 이상이 나타난다. 검사해 보면 반드시 전좌형 아기와 동일한 이상염색체가 한개 섞여 있으며 그 대신 21번 염색체가 한개 뿐이다. 따라서 염색체의 숫자는 45개로 정상인보다 한개가 모자란다.그러나 ... ...
왼쪽, 오른쪽
과학동아
l
199204
존재해왔음을 암시하고 있다. 물론 원숭이와 같은 영장류들이 평범한 생활을 하며 어느
한쪽
손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나 어떠한 시험조건 하에서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 특히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기 힘들 때처럼 정교한 운동기능이 필요할 때 오른손을 이용해야만 한다. ... ...
(2) 수준따라 음악카드 다양
과학동아
l
199204
컴퓨터를 미디케이블(미디 단자를 연결하는 전선같은 것)로 연결하여
한쪽
에서 다른
한쪽
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먼저 미디기능이 있는 갑 을 두대의 악기를 미디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갑쪽에서 '도'음을 일정한 세기로 일정한 박자 동안 치면 을쪽에서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노르스로피(QN, Quetzalcoatlus Northropi)라는 발음하기도 힘든 이름을 가진 철갑 익룡로봇이다.
한쪽
날개의 길이가 35피트인 이 괴물의 제작자는 폴 매크래디라는 항공학자이다. 드디어 1986년 5월 17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 수백명의 군중이 운집한 가운데 실시된 공개시험에서 QN은 돌풍에 휘말려 ... ...
헬륨기구 타고 세계일주 대모험
과학동아
l
199203
창공에 띄우는 이 발진기지의 규모는 어머어마하다. 높이가 20층 빌딩에 맞먹으며
한쪽
면의 총연장은 미식 축구장을 네개 이어놓은 길이다.에어독을 빠져나간 기구는 고도 9.6~10.5㎞까지 올라간다. 그리고 북동쪽으로 날아갈 예정이다. 주요 경유지는 보스턴 아일랜드 영국 독일 폴란드 러시아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03
작업창으로 손쉽게 옮길 수 있으며(DDE기능), 또 이들 작업창의 일부분을 각각 연계(link)해
한쪽
만을 수정하면 다른쪽도 자동적으로 고칠 수 있게 해준다(OLE기능).윈도우 3.0에서 보여준 이같은 기능은 세계 PC 사용자들을 단번에 매료시키기에 충분했고 지금까지 DOS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주력해온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03
수초)를 먹는 모습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마름이 잘 끊어지지 않아 둘 이상이 풀
한쪽
끝씩을 잡고 서로 빙빙 돌아가며 줄기를 끊는 모습은 교사들에게 많은 것을 생각케 해주었다. ■ 낙동강 하구(을숙도 주변)이른 새벽에 고니의 먹이로 알려진 제첩국으로 아침식사를 한 탐사대는 세척의 ... ...
엑슨 발데즈 원유유출사건 그 후
과학동아
l
199203
유조선은 암초에 걸린 채 꼼짝도 하지 않았다. 기름냄새가 진동을 하고 기름이
한쪽
으로 급작스럽게 빠져 나가면서 유조선은 균형을 잃고 기울어질 위기에 처했다. 배가 전복된다면 그 차가운 물속에서 아무도 살아남을 수 없었다. 선장은 20분 동안이나 연안경비대에 연락을 하지 않았다. 그는 ... ...
'과학'도 거짓말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3
대로 '과학적이지도 않은 과학적 증거를 빙자해 여론재판을 이끌었다'는 비난이 결코
한쪽
입장의 억지가 아님을 수긍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이 경우 '과학'이란 말이 편파(偏頗)를 비호하는 연막 구실을 한 것은 아닌가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그러나 깊이 생각해보면 감정과정의 비과학성 보다는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02
지구 적도 둘레를 1초동안에 일곱바퀴반이나 도는 빠르기이다. 실험실 안에서 그 빛이
한쪽
으로 갈 때와 돌아올 때 갖는 빠르기의 차이를 재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하지만 1887년에 미국의 물리학자인 A.A.마이켈슨(Michelson)과 E.W.몰리(Molrey)라는 두 사람은 간섭계라는 장치를 써서 이 까다로운 실험을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