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의수를 정교하게 만들기 위해 뇌 원리를 밝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뇌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질수록 뇌 손상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5G) 서비스까지 시작되면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무선이어폰, 태블릿PC, 공기청정기 등 생활제품 37종에 대해 전자파를 측정해 5월 말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5G 스마트폰, 전자파흡수율 낮아논란이 됐던 무선이어폰부터 살펴보자. ...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걸 전해주려고 합니다.”인천 강화도 강화갯벌센터 강연장에 등장한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이 말로 강연의 포문을 열었다. 블루카본은 강연장에 모인 학생들에게도 굉장히 생소한 단어였다. 탄소 흡수하는 바다의 염생식물5월 18일 토요일 아침. 유독 ... ...
-
- 화성탐사로봇 오퍼튜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이우섭(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 Tanya Harrison(미국 아리조나대학교 뉴스페이스 연구소 디렉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화성탐사로봇 오퍼튜니티Part1. 오퍼튜니티, 15년의 기록Part2. 오퍼튜니티, ...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997년 처음 개봉한 영화 ‘맨 인 블랙’은 끊임없이 웃음을 터트리게 하는 기상천외한 외계인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이들 외계인이 지구인의 모습으로 위장한 채 인간과 섞여 지구에 살고 있다는 설정도 흥행 포인트였다. 무엇보다도 지구를 공격하는 막강한 힘을 가진 외계인이 아니라 무섭지 ...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5월 15일 경기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 캠퍼스. 정문으로 들어가 오른쪽으로 끝까지 걸어가면 반도체관이 나온다. 이날은 마침 스승의 날이어서 간단한 행사가 있었다. 오후 2시 30분 반도체관 정문 앞에 레드카펫이 깔렸고, 스승과 제자 사이에 케이크 전달식이 짧게 진행됐다. 케이크를 한 조각 ... ...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체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메탄(CH4)은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가늠하는 지표다. 특히 화성이라면 더욱 그렇다. 산소가 풍부하고 수소가 희박한 화성의 대기 환경에서 생명체가 생명 활동을 하면서 메탄을 내뿜지 않으면 자연적으로는 메탄이 생성될 확률은 거의 0에 가깝다. 그런데 화성에 메 ... ...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머리 부위를 따라가며 영상을 찍는 현미경을 직접 제작했죠.”5월 3일 김규형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의 안내에 따라 연구실에 들어서니 책상 위에 놓인 현미경 두 대가 눈에 들어왔다.김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의 몸길이는 약 1mm”라며 “현미경을 이용하면 예쁜꼬마선충의 ... ...
-
- [에디터노트] 진짜 쉬운 수학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방식으로 수학을 다뤄야겠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물이 이번 호 특집 기사로 나왔다. 과학기술 연구 현장에서, 대학의 이공계 학과에서,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수학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편견 없이 봐주면 좋겠다. 과학동아가 만난 취재원들도 모두 수학의 즐거움을 얘기했다. 독자들의 ...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과 교수는 물고기 개체 수를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을 연구 중이다. 이창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과학과 교수도 전염병 확산 모델을 연구하는 수리생물학자다. 반면 세계적으로는 수리생물학이 ‘핫’하다. 김 교수는 “현재 미국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 중 10% 이상이 수리생물학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