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모양의 비밀을 밝혀라! 비눗방울 문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수학자도 저처럼 비눗방울을 연구한대요~! 최근엔 두 수학자가 비눗방울 3개가 붙었을 때 표면적이 최소가 되는 모양이 어떤 건지 증명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함께 자세히 알아봐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모양의 비밀을 밝혀라! 비눗방울 문제Part1. [특집] 얼마나 아니?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목표가 무엇인가요? 밀먼 : 다양한 문제를 풀고 싶어요. 수학은 끝이 없는 여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제가 만나는 문제가 계속 달라질 거예요. 5년 전만 해도 제가 비눗방울에 대해 연구 결과를 냈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거든요. 비눗방울 문제에 한정 지어서 목표를 생각해 본다면, 설리반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더 넓혔습니다. 그 결과 2회 때에는 43개국에서 총 366명의 수학자가 참여했지요. 3회 때에는 2회에 참석한 수학자를 대상으로 어떤 수학자의 연구가 궁금한지 물어 강연자를 섭외해 진행했대요. 이렇게 발전을 거듭하며 GSA는 성공적으로 진행됐는데 4회 개최를 앞두고 수학자들은 새로운 변화를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놀란 감독의 영화 ‘인셉션’에는 주인공이 다른 사람의 꿈속으로 들어갈 때 계단의 처음과 끝이 연결돼 있어 아무리 걸어도 결국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무한 계단이 등장한다. 이런 무한 계단에 매일 반복되는 시간을 담아 나만의 시계를 만들어 보자.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 호주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아무것도 나올 수 없다. 앞서 짚었듯 사건의 지평선 밖으론 물질도 정보도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사건의 지평선 안에 숨겨진 비밀을 밝히는 건 관측이 아니라 이론의 영역이다. 사건의 지평선 안, 블랙홀의 중심에는 특이점이 있다. 블랙홀에 흡수된 물질은 모두 이 지점에서 부피가 무한소로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없다. 힉스끼리의 결합세기를 이론적으로 계산했을 뿐, 아직 정확히 측정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측정하려면 힉스를 잔뜩 만들어서 서로 충돌시켜야 한다. 일본의 국제선형가속기 (ILC,International Linear Collider), 중국의 원형전자반전자충돌기 (CEP, Circular Electron Positron Collider), 유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조작합니다. 원격으로 모교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강연을 하기도 하죠. 이때 허공에 영상을 보여주는 기술을 홀로그램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의 수백 배에달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0.1초의 지연도 없이 고성능 컴퓨터로 처리해야만 가능한 기술입니다. 영화에서는 자주 ... ...
- [과학뉴스] 달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다양했고요. 연구팀은 달 토양에서 자란 식물의 모습이 소금이나 금속 등에 노출되었을 때와 비슷하게 스트레스를 받아 잎이 작고,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도 발견했지요.펄 교수는 “식물의 유전 정보와 달 토양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서 달 토양에서 식물이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잘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둠을 밝히는 비법은 자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나서 자석을 흔들며 불을 밝혔어요. 하지만 불을 밝히려면 자석을 계속 흔들어야 하기 때문에 글씨를 쓸 수 없었죠.“탐정님, 어쩌죠? 일단 불은 켰는데 어차피 글씨를 쓸 수 없는 건 마찬가지예요….”꿀록 탐정은 어머니께 혼날 한석봉을 안타깝게 여겼지만 이내 한 마디를 남기고 떠났어요.“사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돼요. 반대로 부교감신경은 늘어난 혈류량에 대응해 혈관을 확장시키지요. 부끄러울 때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은 이같은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아 피부 근처의 모세혈관이 확장하며 나타나는 변화랍니다! 순식간에 답해줌!Q. 어과동 편집부에서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무엇일까요?황지완(jwhwang)A.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