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되풀이
중복
순환
거듭
회귀
재발
2중화
d라이브러리
"
반복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현상이 보이기도 한다.바자렐리는 평행선이나 바둑판무늬 같은 단순한 기하학적 모양이
반복
되도록 화면을 설계했는데, 이때 무늬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치밀하게 계산해 배치했다. 그 결과 위에 보이는 두 작품처럼 직선만을 이용해 곡면도 표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바자렐리는 좌우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가축을 인위적으로 사람에게 유리한(육류로 적합한) 품종으로 만들기 위해 근친 교배를
반복
하다가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졌고, 구제역 같은 전염병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이다.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야생동물 중 멧돼지가 구제역에 걸려서 집단으로 폐사하는 일은 들어보지 못했을 ... ...
미래 에너지 산업은 촉매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나 실험실다운 환경이 갖춰질 무렵, 넓은 공간으로 이사를 했다. 실험실 세팅을 다시
반복
했다. 이런 경험 덕분에 실험을 할 때 사용하는 실험장비, 분석장비에 대해 정말 잘 알게 됐다. 지금은 이 경험이 실제 회사 생활에 소중한 자산이 됐다.촉매라는 단어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 ...
“조바심내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런데 막상 문제를 풀면 틀려요.”“아이디어는 좋지만 풀면 틀리는 것은 네가
반복
을 통해서 그 부분을 확실한 ‘네 것’으로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야. 귀찮아서 생략하고 지나쳤던 계산이나 복습 때문에 어려운 문제는 맞는데 정작 쉬운 문제는 틀리는 거야. 실수로 한 두 개씩은 꼬박꼬박 ... ...
수학쌤의 이중생활 영화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결돼 있어요. 돈이 많이 있으면 좋은 장비를 이용할 수 있고, 좋은 연기가 나올 때까지
반복
해서 촬영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영화 한 편에 쓸 수 있는 돈은 정해져 있고, 그에 맞춰 작업을 하면서 영화의 완성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죠. 특히 영화 촬영 중에는 비가 와서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빠지면 이번엔 처음부터 뗏목을 찾는다. 쥐는 뗏목의 위치를 기억하기 때문에 실험을
반복
할수록 뗏목을 찾는 시간은 점점 줄어든다. 심지어 뗏목을 치우더라도 그 곳으로 간다. 하지만 OPHN-1 유전자가 없는 돌연변이 쥐는 뗏목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했다.소거스 박사팀은 이 유전자를 없앴을 때 쥐의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식이다.모든 방향의 적외선을 동시에 인식하면 똑바로 직진한다. 이 과정을 여러번
반복
하면 도킹 스테이션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적외선 방향을 스스로 안다적외선의 방향을 로봇이 스스로 알려면 더욱 치밀한 계산이 필요하다. 3개의 방향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모두 같은 적외선이 아니다. 각 ... ...
앞뒤로 왔다 갔다~! 고백카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왕복운동을 방해할까? 생각해 봅시다1. 원리대로 하면 고백카는 계속 왕복운동을
반복
해야 해요. 하지만 왕복운동이 점점 작아지다 멈추는 이유는 뭘까요?2. 탄성력을 가진 물체라면 무엇이든 고백카를 왕복운동하게 할 수 있어요. 고무줄 대신 고백카를 움직이게 만드는 재료는 또 어떤 것이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하는 예술가들은 작품에 거울을 종종 활용한다. 거울 반사로 만든 무늬는 단순한 형태로
반복
되고 끝없이 퍼지면서 프랙털 구조를 만든다. 몽환적인 느낌을 주는 동시에 착시를 일으켜 옵티컬 아트에 제격이다. 늘 가까이에 있는 거울을 이용해 신비로운 옵티컬 아트에 도전해 보면 어떨까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공간 두 개가 나란히 존재해 이들이 서로 진동하듯 주기적으로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
한다. 둘이 접근하다 결국 만나면 우주가 파국을 맞으며 다시 시작한다. ‘주기적 다중우주’다(5월호 기획‘다중우주’ 참조). 이 이론은 시간에 대한 관점을 바꾼다. 시간은 결코 죽지 않는다. 사라지지도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