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되풀이
중복
순환
거듭
회귀
재발
2중화
d라이브러리
"
반복
"(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식이다.모든 방향의 적외선을 동시에 인식하면 똑바로 직진한다. 이 과정을 여러번
반복
하면 도킹 스테이션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적외선 방향을 스스로 안다적외선의 방향을 로봇이 스스로 알려면 더욱 치밀한 계산이 필요하다. 3개의 방향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모두 같은 적외선이 아니다. 각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가축을 인위적으로 사람에게 유리한(육류로 적합한) 품종으로 만들기 위해 근친 교배를
반복
하다가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졌고, 구제역 같은 전염병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이다.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야생동물 중 멧돼지가 구제역에 걸려서 집단으로 폐사하는 일은 들어보지 못했을 ... ...
마우스 병원, 마음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빠지면 이번엔 처음부터 뗏목을 찾는다. 쥐는 뗏목의 위치를 기억하기 때문에 실험을
반복
할수록 뗏목을 찾는 시간은 점점 줄어든다. 심지어 뗏목을 치우더라도 그 곳으로 간다. 하지만 OPHN-1 유전자가 없는 돌연변이 쥐는 뗏목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했다.소거스 박사팀은 이 유전자를 없앴을 때 쥐의 ... ...
미래 에너지 산업은 촉매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나 실험실다운 환경이 갖춰질 무렵, 넓은 공간으로 이사를 했다. 실험실 세팅을 다시
반복
했다. 이런 경험 덕분에 실험을 할 때 사용하는 실험장비, 분석장비에 대해 정말 잘 알게 됐다. 지금은 이 경험이 실제 회사 생활에 소중한 자산이 됐다.촉매라는 단어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 ...
“조바심내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런데 막상 문제를 풀면 틀려요.”“아이디어는 좋지만 풀면 틀리는 것은 네가
반복
을 통해서 그 부분을 확실한 ‘네 것’으로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야. 귀찮아서 생략하고 지나쳤던 계산이나 복습 때문에 어려운 문제는 맞는데 정작 쉬운 문제는 틀리는 거야. 실수로 한 두 개씩은 꼬박꼬박 ... ...
앞뒤로 왔다 갔다~! 고백카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왕복운동을 방해할까? 생각해 봅시다1. 원리대로 하면 고백카는 계속 왕복운동을
반복
해야 해요. 하지만 왕복운동이 점점 작아지다 멈추는 이유는 뭘까요?2. 탄성력을 가진 물체라면 무엇이든 고백카를 왕복운동하게 할 수 있어요. 고무줄 대신 고백카를 움직이게 만드는 재료는 또 어떤 것이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현상이 보이기도 한다.바자렐리는 평행선이나 바둑판무늬 같은 단순한 기하학적 모양이
반복
되도록 화면을 설계했는데, 이때 무늬의 위치를 수학적으로 치밀하게 계산해 배치했다. 그 결과 위에 보이는 두 작품처럼 직선만을 이용해 곡면도 표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바자렐리는 좌우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사람들은 프랙탈 음악을 좋아할까?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사람들은 같은 음이 계속해서
반복
되는 것을 싫어한다. 지루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변화가 계속 되는 음악도 싫어한다. 변화가 너무 심하면 소음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당히 규칙이 있으면서 의외성이 있는 곡을 좋아하는데, 바로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공간 두 개가 나란히 존재해 이들이 서로 진동하듯 주기적으로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
한다. 둘이 접근하다 결국 만나면 우주가 파국을 맞으며 다시 시작한다. ‘주기적 다중우주’다(5월호 기획‘다중우주’ 참조). 이 이론은 시간에 대한 관점을 바꾼다. 시간은 결코 죽지 않는다. 사라지지도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지표를 본다. 만성피로가 바로 이 ‘애매한 중간’ 단계의 증세다. 부신에서 코르티솔을
반복
해서 많이 만들었다. 부신이 지쳐서(비유) 이 호르몬이 분비되는 기능이 떨어졌다. 몸이 노곤하고 기운이 없다. 하지만 코르티솔이 완전히 고갈된 상태는 아니다. 완전히 고갈되면 ‘에디슨 병’이라는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