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동전으로 2파운드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있겠네요. 여러분이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반복문을 어떻게 쓰는지 먼저 잘 알아 두세요. 재귀 기법을 이용하려면 먼저 한 종류의 동전을 택하세요. 그러면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어요. 2파운드를 만드는 데 그 동전을 쓰거나, 안 쓰거나죠. 쓰지 않는다면 나머지 동전 종류로 똑같은 ... ...
- Part 2. 달은 지구촌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4호에선 채취된 토양에 식물을 키우는 시도도 펼쳐질 거랍니다. 또한 누에나방의 애벌레 알을 부화시키는 등 달에서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될 거예요. 전세계 민간 기업, 달을 향해 쏴라! 2007년, 미국의 인터넷 회사인 구글은 총 상금 3000만 달러를 걸고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학은 ‘진로 탐색’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희망하는 진로를 위해 노력한 학생들이 대학에 와서 우수한 결과를 낼 것이라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 ... 분야부터 자세히 들여다보고 알아보다 보면 나에 대해서도, 변화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다 ... ...
- [과학뉴스] 보이저 2호, 태양계 넘어 성간우주 진입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2호’가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성간우주(interstella space)에 도달했다. 1977년 8월 20일 발사된 이후 41년간 약 297억7200 ... 대해 아직 모르는 게 많다”며 “보이저 2호가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효적산온도가 234도만큼 누적되기 위해서는 6월 1일 오전 5시부터 쌓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부패지수와 유효적산온도로 추정한 유병언의 사망 시점은 2014년 6월 1일 오전 5시경이라는 것이다. 이 결과는 수사팀이 유병언의 시체에서 발견된 큰검정뺨금파리와 연두금파리의 성장 속도를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Back to the Moon and on to Mars)’. 트럼프 대통령이 재개한 우주 탐사 캠페인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달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화성 탐사다. 전인수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우주환경그룹장은 “과거의 달 탐사는 달에 도달하는 자체가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달을 심우주에 도전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다루는 경험이 부족해요.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의 경우 각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고, 데이터의 양도 무척 많죠. 그래서 인공지능 연구는 협업이 중요해요. 전공이 다른 여러 연구원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을 조금씩 채워가며 일을 해야 하죠. ● 가장 필요한 능력은? 김 기자 : AI ... ...
- [화보] 자연에 숨어있는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데리고 가요. 암컷은 그곳에서 올챙이가 새끼 개구리로 자랄 때까지 부화하지 않은 알을 먹이로 준답니다. 아, 바쁘다 바빠! 하늘을 가득 채운 외계인일까요? 실은 바다를 가득 메운 게랍니다! ‘헨슬로의 헤엄치는 게’라고도 불리는 폴리비우스 헨슬로우이(Polybius henslowii)는 지중해와 유럽 연안에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음반이 실려 있어요. 2030년 이후부터는 두 보이저 모두 작동이 중지되어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게 되지만, 혹시 외계 문명이 금제 음반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요? 가장 멀리서 찍은 풍경 사진 1월 1일, 우주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호’는 지구로 멋진 새해 선물을 보낼 예정이에요. 인류 최초로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덕분에 뒤영벌이 서울 지역에 고루 분포해 살지 못하고 여러 집단으로 쪼개져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며, “이 경우 작은 집단부터 사라지다 끝내는 멸종 위기에 처하는 일이 있을 수 있어 두 서식지 사이에 공원을 만드는 등 대안을 제시하는 논문을 쓰고 있다”고 말했어요. 올해 수료식에는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