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지난 3월 28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 보니 버래티 박사팀은 토성의 위성이 서로 다른 모양과 색깔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토성에서는 총 62개의 위성이 발견됐어요. 그 중 연구팀은 토성에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는 5개의 소형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호텔에서 한국
우주
전파관측망(KVN) 프로젝트 준비 모임이 열렸다. 정 교수는 연세대 천문
우주
학과 석사과정 연구원 신분으로, 손 교수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신분으로 이 모임에 참석했다. 정 교수는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전파간섭계를 전공한 연구자가 전무했는데, 손 교수가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말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가 인도와 함께 하길 가장 원하는 협력 분야가
우주
”라며 “두 나라가 달 탐사를 위한 협력을 강화해나가자”고 화답했다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지요. 로덴 분화구는 터렐에 의해 주변의 하늘과 땅, 문 명과
우주
가 연결된 대규모의 예술 작품으로 탈바 꿈합니다. 이 작품은 대중에게 선보이기 위해 여전히 작업 중입니다. 터렐은 이처럼 정사각형이나 타원형으로 구멍을 뚫어 빛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연안 해양생물의 서식에 방해가 된다. 연구팀은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이 운용하는 인공위성에 달린 고분해능 기상 센서 ‘모디스(MODIS)’가 기록한 19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3년을 제외하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모자반 벨트가 형성됐으며, 그 양이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정체를 알 수 없는 예술가가 위험에 처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말리는 서둘러
우주
선을 빌려 알랭이 남긴 좌표를 향해 날아갑니다. 인공지능이 예술을 할 수 있을까? 자의식 없는 인공지능은 도구에 불과해2016년 3월 구글에서 만든 인공지능 화가 ‘딥드림(DeepDream)’이 그린 작품 29점이 총 ... ...
비하인드┃아폴로11 성공을 만든 결정적 장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위대한 도약이다.”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1969년 7월 21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내디뎠다. 달 표면에 선명히 찍힌 인류의 첫 발자국 사진을 한 번쯤은 봤으리라. 그런데 사실 발자국의 주인공은 암스트롱이 아니다. 발자국의 주인은 두 ... ...
아폴로 8호, 역대 가장 무모한 임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받고 있다.▲“산타클로스가 정말 있네요.” “당신이 제일 잘 알겠죠.” 아폴로 8호
우주
비행사들은 지상과 교신이 끊긴 상황에서 지구 귀환을 위한 엔진 점화에 성공하자 기뻐하며 이렇게 말했다. 크리스마스 당일에 어울리는 미국식 유머였다. 산타의 선물(?) 덕분일까. 아폴로 8호는 무사히 ... ...
피플┃
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스페이스X의 첫 고객이자 함께 도전하는 동반자 역할도 해왔다. 스페이스X는 2013년
우주
발사체 팰컨 9에 SES의 정지궤도위성 SES-8을 실어 보냈다. 2017년에는 세계 최초로 1단을 재사용한 팰컨 9 발사에 인공위성 SES-10을 실어 올리는 모험 아닌 모험을 감행하기도 했다. 이 위성은 초고화질(UHD) 영상 ... ...
신비┃
우주
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전파 메시지를 검출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동안 세티 프로젝트에서 감지할 수 없었던
우주
깊은 곳의 전파 신호까지 탐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외계생명체를 탐색하는 과학자들은 외계인을 찾는 노력이 이제 막 시작됐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었던 것이 불과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