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남북한의 친구들이 함께 볼 수 있으면 정말 좋겠어요.달무리를보면날씨를알수있어! 달
주위
를 동그랗게 두르고 있는 빛을 달무리라고 해요. ‘가물 때 달무리가 있으면 비가 온다’는 속담도 있듯이 달무리로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답니다. 달무리는 새털구름이나 털층구름처럼 얇고 넓게 펼쳐져 ... ...
'식물원에 대한 편견 깨뜨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느끼고 가길 바랍니다. 식물원과 함께하는 소중한 하루 식물은 마치 공기와 같이 우리
주위
에서무척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소중함에 대해서는 느끼지 못한다. 식물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맛없는 채소반찬 대신 고기반찬만 먹을 수 있으니까 잘됐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정말 ... ...
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이태백이 놀던 달아….”가을 밤하늘을 훤하게 밝히는 자연 조명인 달. 그런데 가끔은 달
주위
를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는 테를 본 적이 있을 거예요. 마치 책상에 올려놓은 스탠드의 갓처럼 말이죠. 그건‘달무리’라고 하는데 옛말에‘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온다’는 이야기도 있어요. 달무리는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전자석에 가장 멀리서 달라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침반 역시 쇠못으로 만든 전자석
주위
의 바늘이 더 많이 움직인다. 즉 쇠못으로 만든 전자석이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든 전자석보다 더 강한 자기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가열했다가 식힌 쇠못을 사용하는 이유는 보통 쇠못이 이미 자석의 ... ...
세계 곤충 학습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쉽지 않지 뭐야. 자꾸 없어지는 숲과 들판 그리고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농약 때문에 우리
주위
의 곤충들은 점점 사라지고 있어. 이제 TV와 인터넷을 통해서만 곤충을 만나는 것도 지겨워. 그리고 곤충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은 화가 날 정도로 안타까워. 도대체 이번 여름 방학에 어딜 가야 곤충을 ... ...
생태계에 꼭! 필요한 작은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녹색을 띠고 있어요. 물속을 살펴보면 가늘고 긴뿌리를 관찰할 수 있어요. 개구리의 입
주위
에 흔히 붙어 있어서 개구리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답니다.장구벌레더러운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나 하수구의 물 속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견할 수 있어요. 장구벌레는 모기의 애벌레예요. 크기는 1cm가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이 통계에 의하면 연간 7000억 원쯤의 의료비를 줄일 수 있답니다.여섯! 소음 차단기집
주위
에 나무를 심어 울타리만 만들어도 청소차 소음을 50%, 어린이 놀이터의 소음을 50%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요. 그러니 도시의 숲은 더 큰 효과를 주겠죠? 시끄러운 소리가 줄어들면 공부도 잘되고 잠도 솔솔~ ... ...
구름,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때 가만히 입구 위에 얼음 조각을 올려놓는다.➜ 집기병을 들여다보면 얼음이 있는
주위
에서부터 생긴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모여서 안개처럼 흘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왜 그럴까?뜨거운 물이 담긴 병의 아래쪽 공기는 온도가 높아 위로 올라가게 되고 병의 입구에 도착하게 되면 찬 얼음 때문에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뭘, 이 정도 가지고…. 크크크. 내가 이룬 일들은 모두 혼자만의 노력이라기보다는
주위
의 도움이 컸지.. 아이, 박사님 겸손하시기도 하세요. 그럼 아인슈타인 서포터즈를 소개해 주세요.아인슈타인 서포터즈? 하하! 우선 대학 시절에 만난 그로스만을 소개하지. 착실하고 꼼꼼한 성격이었던 그는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흔들리는 듯 고유운동이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베셀은 이 현상이 밝은 별
주위
에 어두운 별이 있어 밝은 별을 흔들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즉 밝은 별이 어두운 별과의 중심을 기준으로 돌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생각한 것이다. 마침내 베셀은 시리우스 주성 옆에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