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천재와 인재가 끊이지 않은 사고일지미르가 1986년 2월에 발사된 이후 15년의 우주체류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는 무려 1천4백여건이 넘는다. 이중에는 ... 최종적으로 추락이 예상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
이다. 최종 추락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동안 자금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한 결과 지금은 거래은행의
지점
장이 일부러 자리를 마련할 정도로 기업의 자금흐름, 경제 동향 등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자랑한다.최근 신문지상에서는 올해부터 바이오벤처들의 본격적인 해외시장 개척이 시작될 것이라고 보도하고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발견했으며, 2028년 10월 27일 지구로부터 4만6천km(지구 지름의 약 3.6배) 떨어진
지점
을 통과할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국내 일부 보도는 이런 사실을 과장했다. 물론 사소한 표현의 차이에서 비롯됐다. 마치 링거 병에 달린 꼭지로 투약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처럼 헤드라인의 어투만으로 ‘자극’을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위해 우선 도인이 준 비문을 분석해 거울나라로 가는 길을 찾아 나선다.비 문출발
지점
에서 10㎞를 간다→ 시계방향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는 정도는 두개의 거울이 한 모서리를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물체를 놓으면 상이 세개로 보이는 때의 두 거울의 각과 같다→ 15㎞ 간다→ 다시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또한가지 그가 마음 속에 오랫동안 숨겨놓은 관심거리가 있다. 바로 과학과 신화의 접목
지점
을 찾는 일이다. 과학과는 전혀 상관 없어 보이는 문단의 귀재가 왜 과학 얘기에 흥미를 가질까.의외로 그의 대답은 명쾌했다. “과학은 결국 신화 따라잡기입니다. 그리스·로마 신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발견이 이뤄졌던 것이다.결국 폰 자크는 12월 마지막날 밤에 가우스가 정확히 예측했던
지점
에서 문제의 천체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피아치가 처음 발견한지 1년만이었다. 물론 화성과 목성 사이에, 티티우스-보데 법칙이 예측하는 그곳에 위치한 미지의 행성 자격으로 말이다. 이때 새로운 행성의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χ = $\frac{hd}{ι₁-ι₂} $+ h그리고 이로부터 해 바로 아래
지점
에서 처음 막대까지의 거리인 y도 구할 수 있다.y = $\frac{ι₁d}{ι₂-ι₁} $위 x와 y의 결과를 보고 음미하면 바로 “그림자의 차이를 나눗수, 막대높이와 막대간 거리의 곱을 나뉨수로 삼아서 나눴을 때 얻어진 값에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장식하기 때문이다. 유성우는 보통 복사점(별똥별이 출발한 것처럼 보이는 하늘의 한
지점
)이 있는 별자리의 이름을 따서 붙이는데, 용자리 이오타 유성우는 당연히 복사점이 용자리 이오타별 근처에 있다. 그런데 옛날 이 근처에 있던 ‘벽면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 때문에 ‘사분의자리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빛살 가르개를 통과한 후의 두 경로에 두개의 완전 반사 거울을 놓고 광자가 모이는
지점
에 또하나의 빛살 가르개를 배치한다. 그리고 광자가 두번째 빛살 가르개를 통과한 후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두 경로에 각각 광검출기를 설치하자(그림 2). 과연 두 광검출기에서 광자는 어떤 확률로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탁구공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공기의 흐름이 빠른
지점
일수록 그 부분의 압력이 작아져(베르누이의 정리) 반대쪽의 큰 압력을 받아 압력이 작은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다.바람의 방향을 바꿔도 탁구공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뜨는 힘이 발생해 탁구공에 작용하는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