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우리나라 1호 쇼콜라티에 김성미 대표·의전관광 전문가 정명진 대표
동아일보
l
2013.05.07
각각 무엇인가요”라고 물었다. 정 씨는 “매일 매일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
”이라고 답했다. 고객의 일정과 개인적 기호에 맞춰 자신의 24시간을 할애해야 하니 힘들다면 힘들다고 할 수 있지만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각국의 영향력 있는 사람의 생활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 ...
팬택의 야심작 ‘베가 아이언’…세계 최초 ‘엔드리스 메탈’ 구현
동아일보
l
2013.04.30
따라 아이폰4 이후 제품 옆면을 금속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애플은 금속 재질의
단점
인 이동통신 수신 감도 문제로 곤욕을 치렀다. 스티브 잡스 전 애플 최고경영자(CEO)의 사후 출간된 전기는 잡스가 아이폰4 출시 당시 수신 감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반대를 뿌리치고 금속 재질을 고집했다고 ... ...
“장
단점
은…” 갤럭시S4 본 日기자의 냉정한 평가
동아일보
l
2013.04.30
삼성전자가 갤럭시S4를 국내 최초로 공개한 25일. 출시행사가 열린 서울 서초동 사옥 다목적홀에는 250여명의 국내외 취재진이 몰려 폭발적인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 자리에는 일본 취재진 20여명이 출시행사에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중 일본 휴대폰 전문매체 케이타이워치의 호우린 타카유키 기 ... ...
가습기가 ‘신소재’ 낳는 거위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코팅한 뒤 지지대를 없애는 등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한 번에 많이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팀은 실제로 이 소재를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활용했더니 빠른 속도로 충·방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여러 겹의 공으로 된 신소재를 간단하게 대량 합성할 수 있는 ... ...
석유 찌꺼기로 배터리 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황 배터리의 충전가능 횟수를 높이고 전체적인 수명을 늘려, 기존의 리튬-황 배터리의
단점
을 보완했다. 편 교수는 “이번에 제작한 배터리는 단위 부피당 전지용량도 823 mAh /g으로 높아 이론값인 1672mAh /g의 50%수준으로 끌어올렸다”며 “상용화할 경우 전기차의 배터리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 ...
채식 조심하라고? 가공식품 더 조심하라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20년간 채식을 했는데 오히려 건강이 좋지 않았다고 밝히며 자신의 사례를 들어 채식의
단점
을 적나라하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정제 곡물이나 설탕 등을 근거로 채식이 영양학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한다. 채식을 반대하고 비난하던 사람들은 이 책을 근거 삼아 채식에 대한 반대의 ... ...
나노입자 뿌리니 태양전지 효율 20% 높아졌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빛 흡수층이 수십 나노미터(nm=10억분의 1m)에 불과해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낮다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진은 같은 태양광전지라도 빛을 충분히 더 모아 주면 발전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다양한 실험을 거친 결과 금속 나노입자의 ‘플라즈모닉’ 이라는 빛의 전방 산란 효과를 ... ...
“나노기술 대중화가 나노기술 산업화 성공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보여 두껍게 바르지 못하는
단점
이 있었는데, 이 입자들을 더 작게 만들었고 하얗게 되는
단점
을 보완해 자외선 차단효과를 오래가게 만든 것이 바로 나노기술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분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최근 안전성을 검증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의약품에 사용해 오남용되는 ... ...
‘아르곤 가스’만 있으면 불량품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수 있지만, 레이저를 쏜 박막 표면에 용융이나 기화가 생겨 분광신호가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
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를 아르곤 가스로 해결한 것이다. 아르곤 가스는 플라즈마 온도와 전자밀도를 높이기 때문에, 플라즈마 분광신호의 세기가 높아져 박막 품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아르곤 ... ...
“폭발하기 쉬운 수소, 쇳덩어리 안에 저장”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합금을 쓰는데, 효율은 7∼8%까지 높일 수 있지만 300도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
이 있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일종인 알라네이트를 쓰기도 하는데, 70∼170도에서 5.5% 효율로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2005년 수소를 얼음 속 물분자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