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능
방사
복사선
방사물
뉴스
"
방사선
"(으)로 총 1,535건 검색되었습니다.
네덜란드가 반한 한국 연구로 기술
과학동아
l
2014.07.04
들어갈 수 없고 로봇 팔을 달아 원격으로 대부분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방사선
이 뿜어져 나오는 환경에서 작업하려면 어디를 어떻게 막을지도 매우 중요한데, 이런 노하우는 원자력연구원처럼 직접 해본 곳에서만 갖고 있다. ●냉중성자 기술 차별화시킨 게 핵심 냉중성자를 ... ...
암 환자
방사선
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02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p53’이 있으면 HRP-3을 억제하는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방사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물질을 개발하는 데도 성공했다. 황 연구원은 “암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미리 파악한다면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치료 효과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 ...
[과학계 소식]
방사선
동위원소 저장·분배기술 이전 등
과학동아
l
2014.06.25
단위로 정밀 분배해 의료용 캡슐에 주입하는 장치다. 또 용액 토출기는 내구성이 뛰어나
방사선
이 노출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해도 쉽게 고장 나지 않고 토출 정밀도를 유지한다는 것이 장점이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26일 오전 10시부터 대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과학기술위성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스테이크, 파스타 등 양식이 많다. 스테이크를 포함해 우주로 올라가는 대부분의 식품은
방사선
을 쪼여 완전 멸균상태로 만든다. 완전 멸균상태가 아니면 부패할 가능성이 있고 우주인이 이 음식을 먹고 식중독에라도 걸리면 지상에서와 달리 조치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요즘 우주인들에게는 ... ...
[과학계 소식]
과학동아
l
2014.06.16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 성과가 담겨있다. 또 다양한 환경 조건을 모델링해
방사선
을 이용한 항암치료와 멸균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산하의 로봇자동화학회에서 수여하는 젊은연구자상을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수도 있다. 돌연변이는 지금까지 없던 완전히 새로운 변이를 만들어 내는 현상으로
방사선
이나 화학물질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먼저 DNA에 생기는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이 복제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로 피부나 털이 하얗게 되는 백색증(알비노)나 혈우병 등이 해당된다. ... ...
이 약물이라면 ‘트랜센던스’의 조니 뎁 살렸을텐데…
과학동아
l
2014.05.20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며 “그동안 국부적으로 이뤄지던
방사선
치료를 전신 치료로 확대 적용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자매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4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유관 내부에 암세포가 생기는 상태로 일단 발견이 되면 수술로 제거한 뒤 호르몬 요법과
방사선
요법을 행한다고 한다. 그런데 기사는 이런 관행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라고 묻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갑상샘암 환자 급증과 수술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논쟁과 비슷한 내용이다. ... ...
우리은하 자기장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4.05.07
자기장 지도. - ESA, PLANCK 제공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태양풍과 우주
방사선
을 막아준다. 이 과정에서 오로라가 발생하기도 한다. 인간이 사는 태양계가 있는 우리은하 또한 자기장이 존재한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와 토론토대 공동연구팀은 플랑크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 ...
파란 장미-미니 무궁화-시들지 않는 카네이션… "꽃보다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2
베란다에 두고 감상할 수 있다. ● 세균 이용해 파란 장미 개발 교배육종과
방사선
개량은 품종의 형태를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분자유전학을 이용하면 원하는 대로 품종을 설계할 수 있다. 2004년 일본 산토리사와 플로리젠사 연구팀이 개발한 파란 장미가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