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옷처럼 세탁 가능한 전자섬유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임정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세탁을 해도 성능이 유지되는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향후 차세대 웨어러블 제품에 ... 성능과 개발한 트랜지스터를 세제용액에 담궈 세탁 전, 후의 성능을 비교한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
오른쪽
). KIST 제공 ... ...
효소 닮은 촉매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머티리얼스’ 23일자에 발표했다. 남기태(가운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와 김형준(
오른쪽
)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도 함께 참여했다. IBS 제공 생체 물질인 효소의 작동원리를 모사해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값비싼 백금 ... ...
韓 중앙아시아 지질자원 정보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왼쪽에서 네번째가 아잠 아리쉐로비치 우즈벡 국가지질자원위원회 부위원장이며 앞줄
오른쪽
에서 두번째가 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이 중앙아시아 전 지역의 지질자원 정보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과 3차원 광산재해 예측기술 공동연구에 나선다. ... ...
달걀 껍데기 촉매로 활용해 수소와 그래핀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달걀 껍데기(왼쪽)와 이 물질을 활용해 만든 그래핀(
오른쪽
)의 모습이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달걀 껍데기를 촉매로 활용해 수소와 그래핀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쓰레기로 버려지던 달걀 껍데기를 활용해 수소 생산 단가를 낮췄다는 평가다.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 ...
얼굴 교환 앱의 대참사
팝뉴스
l
2019.04.21
결과를 보여준다. 앱은 한 남자의 얼굴을 얼굴로 인식했다. 틀리지 않았다. 그런데
오른쪽
의 피사체를 인식하면서 큰 실수를 했다. 사람의 배에 나타난 여러 형상을 얼굴로 잘못 인식한 것이다. 앱은 두 ‘얼굴’을 바꾼다. 그리고 충격적인 괴물 둘이 탄생하게 된다. 사진은 미국의 이미지 공유 ... ...
“마이크로RNA 치료제 실현하려면 기초연구 기술개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뤄(➍) 특정 mRNA에 붙을 수 있다. 그러면 mRNA가 분해된다(
오른쪽
). 동아사이언스 제공 miRNA는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미국 다트머스대 의대 교수가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찾다가 처음 발견했다. 5년 뒤 이 RNA조각이 짝이 맞는 RNA만 골라 ... ...
[인터뷰]"수학 난제 해결, 인내심도 좋지만 안풀리면 잠시 놓는 것도 방법"
수학동아
l
2019.04.20
3월 14일에 열린 시상식에 참가한 부아쟁 교수(맨
오른쪽
)와 수상자들. 시상식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렸다. 유네스코 제공 올해 로레알 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유럽지역 수상자로 여성 수학자가 선정됐다. 클레르 부아쟁 콜레주 드 프랑스 수학과 교수가 주인공이다. 이 상을 ... ...
中유전자 편집 아기 협력 의혹 美 교수들 ‘참여사실 없음’ 처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가진 '디자이너베이비'를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허젠쿠이 전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
오른쪽
)과 그의 지도교수였던 마이클 딤 미국 라이스대 교수. 라이스대 제공 지난해 11월 전 세계 과학계를 놀라게 한 ‘유전자 편집 아기’ 탄생에 협력한 의혹을 받아 학교측 조사를 받던 교수 3명이 '참여사실이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책임연구원(왼쪽) 이 '절친' 동료연구자인 최귀원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
오른쪽
)과 서 있다.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지난해까지 5년 연속으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약리학 및 독성학 분야 권위자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활성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활성도가 높아지자 해당 방에 들어가지 않고(
오른쪽
위), 반대로 억제하자 들어가게 됐다(
오른쪽
아래). 사진제공 KAIST 반대로 맛있는 음식이나 이성 쥐 등이 주어지면 CRF 활성이 빠르게 억제됐다. CRF 세포가 부정적 또는 긍정적 자극에 대해 양쪽으로 반응한다는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