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화
실버
silver
은색
씰버
뉴스
"
은
"(으)로 총 1,991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하고 유연한 ‘
은
섬유’ 전극으로 OLED 효율 19%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망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구동했다. 주 교수는 “
은
섬유 유연투명전극
은
간편하고 저렴하게 대면적으로 제작 가능하고 저항이 낮기 때문에 차세대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2월 28일자에 게재됐다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③] 최선의 다이어트 원칙… “닥치고 적게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것
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식사량을 줄이기 위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
은
금물이다. 식사량을 제한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는 다이어트의 가장 큰 적으로 밝혀졌다. - pixabay ... ...
보노보와 나는 무엇이 다를까? 구별점
은
‘이타주의’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값이 1보다 높아져 자손을 남길 확률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크루예폐 연구원 역시 “인간
은
영장류 중 유일하게 호의를 베풀 수 있는 경향이 우세해 더 큰 무리로 협동할 수 있었던 것”이라며 “남을 돕는 본능이 유인원의 가계도에서 인간을 구분짓는 특징”이라고 말했다 ... ...
무술년 새해 과학계 코드는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사업화’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역량을 한데 모으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임대식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은
“급변하는 기술화경에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과학기술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연구 현장과의 소통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소금기 농작물 피해 안녕! 염분 등 환경 스트레스 극복할 식물 연구 결과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7.12.31
경우 인체에 해가 없으면서도 효과가 좋
은
기생충 치료제를 개발할 수도 있다. 이 연구원
은
“현재 이 효소를 억제할 방법을 찾고 있다”며 “효소의 구조를 더 연구해 세 종의 효소가 왜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지도 추가로 밝힐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아마존 서식 ‘황금왕관 마나킨’
은
교잡으로 탄생한 새 종”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흰돌고래가 만나 교잡한 사례도 있다. 특히 북극곰과 갈색 그리즐리베어 교잡종
은
최근에도 계속 발견되고, 2세대도 보이는 만큼 교잡이 계속된다면 황금왕관 마나킨처럼 하나의 종으로 굳어질 수도 있다. 위어 교수는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한 두 종이 만나 교잡종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큰 폭의 ... ...
1000번 접었다 펴도 작동하는 ‘폴더블’ 리튬이온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은
나노와이어와 활물질을 함께 뿌려 집전체에 고정했다. 송 교수는 “탄소나노튜브와
은
나노와이어는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도전제와 바인더(연결체)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며 “기존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에 사용하던 다양한 활물질을 그대로 쓰면서 간단한 방식으로 집전체에 활물질을 ... ...
1호선 온수역 작업자 사망...국토부-코레일 대책
은
?
동아사이언스
l
2017.12.15
중인 이 시스템
은
현재 시범 운영 중이다. 국토교통부 서영상 철도안전운행과 주무관
은
“올해 말까지 진행하는 시범 운영을 통해 경고음이 울리는 시간이나 방법 등을 최적화하여 내년엔 실제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바이오인공장기ㅣ개인맞춤 생체장기, 신의 영역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향후 10년 내에는 일부 장기의 오가노이드를 2~3㎝ 수준으로 키워 부분이식을 실시하는 것
은
물론 약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으로 오가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겨울 김장 김치, 맛있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30
다른 계절 김치와 비교해 유익한 유산균 수는 비슷하지만 신맛의 척도가 되는 산도는 낮
은
편”이라며 “김치의 맛을 좋게 하는 류코노스톡속 유산균 생성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겨울에 담근 김장 김치는 발효를 거치며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적당히 신' 맛과 여러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