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를 관측하게 된다. 한편 내년에
천문
학자들은 미국 하와이 마우나키산에 건설될 예정인 ‘30미터망원경’ 프로젝트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중국의 구형 전파망원경(FAST) ‘톈옌(天眼)’. 지름이 500m로 세계 최대 크기인 이 망원경은 중국 ... ...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보호해야 한다는 걸 인식하게 해 환경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국제
천문
연맹(IAU)은 지난 10월 8일 이를 기려 지구돋이 사진 속 충돌구의 이름을 ‘앤더스의 지구돋이’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아폴로 8호는 달을 탐사한 최초의 유인우주선이다. 12월 21일 오전 7시51분(현지시간) 미국 ... ...
내 나이 8살, 비로소 산타 진실을 알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악영향을 고려하면 산타 신화를 멈춰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켈시 존슨 미국 버지니아대
천문
학과 교수는 이달 18일 미국 언론 워싱턴포스트에 “아이들은 어른의 권위로 덧씌워진 거짓말에 자신의 비판 능력을 잃는다”며 산타에 대한 거짓말을 멈추라고 호소했다. 어린 시절 비과학적 거짓말에 ... ...
기해년 벽두에도 '혜성의 고향'에선 인류 도전이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이벤트도 풍부하다. 한국
천문
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에서 새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주요
천문
현상은 3대 유성우 가운데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다. 1월 4일과 5일 새벽에 밤하늘 전체에서 유성을 많이 관측할 수 있다. 이어 달이 해를 가리는 부분일식이 6일 찾아온다. 오전 8시 36분부터 달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은하수를 관측해 얻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집대성한 앤서니 브라운 네덜란드 레이던
천문
대 연구원도 이름을 올렸다. 그 밖에 △플라스틱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 환경정책을 마련한 여비인 말레이시아 에너지과학기술환경기후변화부 장관 △DNA 공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미국 ... ...
'천재소년' 송유근 제적처분 효력 정지···학생 신분 유지
2018.12.23
부당하다며 집행정지와 함께 제적처분 취소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2015년 미국
천문
학회지인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한 논문이 표절 의혹에 휘말리고 2016년초 지도교수가 해임되면서 UST에서 실제 교육을 받은 기간은 7년에 불과하다는 취지였다. UST 학칙에 따르면 석·박사 통합과정에 대해 ... ...
2019년 유성우, 부분일식과 함께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2019년 1월 6일 한국 전역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일식. -사진 제공 한국
천문
연구원 2019년 밤하늘을 수놓을 첫 주요
천문
이벤트는 4~5일 새벽 찾아올 유성우와, 6일 아침 찾아올 ...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2019년 마지막 주요
천문
이벤트인 12월 26일 부분일식. -사진 제공 한국
천문
연구원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하는 '딥스페이스게이트웨이(DSG)'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우주에서 오는 신호에 기반한
천문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남극의 과학 연구시설인 ‘아이스큐브’ 과학자들은 남극 빙하 아래에 광센서 5160개를 매단 줄을 심어 놓고, 아주 드물게 수소나 산소의 원자핵 등과 충돌해 모습을 드러내는 ... ...
1609년 갈릴레이 발견한 토성 고리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1억년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오래 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그 생성원인에 대해
천문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토성이 생성 된 뒤 남은 물질이 고리를 이뤘다는 주장과 토성의 강한 중력에 의해 부서진 위성의 잔해물이라는 주장이 있다. 토성의 고리는 목성과 해왕성, 천왕성 등 ... ...
중이온가속기 신임 사업단장에 권면 전 핵융합연 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단장(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 교수)은 초대 단장이었던 김선기 단장(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이 사임한 지 7개월 만에 선임됐지만 올해 7월 역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