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15,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01
- 지금의 전주중앙초등학교가 됐습니다. 2004년에 경기전 부속 건물을 복원할 때 전주중앙초등학교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온 것입니다.두 번째 관문을 넘은 여러분, 다음 세 번째 관문을 기대해 주세요. 과연 여러분이 생각한 순서대로 관문을 넘을 수 있을까요 ... ...
- [News & Issue]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 시작!과학동아 l201601
- UNIST, 울산대와 울산대병원등 4개 기관이 2015년 11월 25일 ‘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는 앞으로 3년 동안 울산 시민1만 명의 유전자를 기증받아 분석할 예정이다. 1호 기증자는 김기현 울산시장이다.이 프로젝트는 실제 생활에 응용될 수 있는 유전자 분석 결과를 ... ...
- [News & Issue]정직한 나라, 실험해 봤더니…과학동아 l201601
- 정직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3.4%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70%에 육박했다. 한국, 일본,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대체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두 번째 음악 퀴즈에서는 일본이 가장 정직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로 문화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정직함에 대한 인식도 조금씩 다른 ...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과학동아 l201601
-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상어 등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생체전기신호를 조절한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생물학’ 2015년 12월 2일자에 발표했다.상어는 다른 동물들의 몸에서 나오는 미세한 전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01
- 높다. 지문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를 완성한 뒤, 침팬지, 오랑우탄, 붉은털원숭이 등 영장류의 DNA도 해독했다. 2015년 해독이 끝난 붉은털원숭이가 가장 최근의 연구 성과다. 미국 베일러 의대 리처드 깁스 박사 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 ...
- INTRO. 광유전학 빛으로 뇌를 조종하다과학동아 l201601
- 그 사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이제는 쥐의 감정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됐다. 음파유전학 등 응용연구도 쏟아졌다. 이제는 인간에게 적용할 방법을 고려할 정도다. 생물학계의 지난 10년을 뜨겁게 달궜던, 그리고 2016년에도 새로운 성과가 기대되는 광유전학을 들여다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01
- 이론이 등장했다. 머리에 거대한 벼슬을 가지고 있는 익룡은 대부분 후기 쥐라기 이후에 등장해 진화한 종류다. 땅에 내려와 다양한 먹이를 먹었고, 따라서 제한된 먹이만 먹던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이 말은 번식에도 더 많은 에너지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01
- 서로 반대편에서 날아와 13TeV의 에너지로 충돌한 두 양성자는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에 의해 힉스를 비롯한 수많은 입자를 만든다. LHC가 가진 두 개의 검출기는 이들을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찾아낼 수 있다.이들이 가진 에너지의 합을 계산한 결과는 두 양성자가 충돌한 에너지와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01
- 원정을 시도했던 것도 그 예언 때문이었다.정말 아직까지 살아남았는지도 모르지. 가로등에 왕국의 깃발을 꽂은 게 왕인지도 모르지.마법사는 두루마리를 접어 가방에 넣고 침낭 안으로 들어갔다. 길잡이는 자기 침낭 옆에 쪼그리고 앉아 두 바퀴 전에 길에서 주운 권총을 만지작거렸다. 마법사가 건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같은 게임 세상오늘날에는 언제 어디서든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이 널리 쓰이고 있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무선 이동통신의 속도가 빨라졌거든요. 그래서 화려한 영상의 게임도 쉽게 다운받고 즐길 수 있게 됐지요.또 다른 변화는 게임을 마치 실제 상황처럼 즐길 수 있게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