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엔진에서 불
규칙
하게 생긴 충격을 전기신호로 바꿔 알려주면 엔진의 집적회로(IC)가 불
규칙
한 연소를 조절하는 원리다. DSLR 오토 포커싱의 비밀 “쉬이익~” 요즘 일반인도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 멋진 모델을 향해 카메라를 들이대며 셔터를 반쯤 누르자 렌즈가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자의 공진과 빛을 결합, 한정시킬 수 있는 플라즈몬 현상을 들 수 있다.나노 구조들은
규칙
적으로 배열된 광결정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모르포 나비의 오묘한 색처럼 자연계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특이한 구조에서는 빛을 원래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는 ‘느린 빛’ 현상, 빛 ... ...
The Next Sudoku?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런던의 타임스와 파리의 르 피가로에 실리고 있으며 아이폰에도 곧 도입될 예정이다. ●
규칙
들 ⓐ 켄켄의 목적은 스도쿠처럼 한 행과 열에 같은 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모든 칸을 채워 넣는 것이다. ⓑ 예시된 퍼즐은 4×4 칸이므로 오직 1에서 4까지의 숫자만 사용한다. 같은 식으로 5×5 칸은 1에서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따르면 두께 500nm(나노미터, 1nm=10-9m)의 알루미늄 결정은 힘을 가할 때마다 선 모양으로 불
규칙
하게 배열된 구조가 움직인다. 이것은 마치 강한 지진파가 전달될 때 지층이 뒤틀리거나 끊어지는 모양과 유사하다.그는 이 실험을 하기 위해 두께 500nm의 알루미늄 결정 속 미세구조를 일일이 관찰해야 ... ...
000만 잘하면 수학을 잘한다? - 수학 완전 정복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래서 가장 간단한 사다리의 일대일대응을 이해하면 사다리가 아무리 복잡해져도
규칙
에 따라 짝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사다리가 아무리 복잡해도 각각의 숫자는 서로 다른 짝을 갖는다.수와 수 사이의 관계를 찾아라교과서에서 배우는 비율과 비례식은 수와 수 사이의 일대일대응 관계를 잘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모아야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이는 압전효과를 이용해 동물의 불
규칙
한 근육 움직임에서 전기를 생산한 첫 사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나노발전기는 얇은 폴리머 기판에 산화아연 나노선(나노막대)이 하나 붙어 있는 구조인데, 햄스터가 움직일 때마다 이 나노선이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안정하다. 이는 방향족탄소 화합물에서 탄소 수가 4n+2개일 때 안정하다는 ‘휘켈의
규칙
’으로 설명할 수 있다(n=정수).탄소원자로만 이뤄진 그래핀은 동판화를 만들 때 많이 쓰이는 조각법인 ‘에칭’같은 방법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패턴(회로)을 쉽게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적 특성도 원하는 ... ...
경영학에 흥미가 있는 이과계열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고객들은 짧은 기간 내에 많은 성과를 원하기 때문에 늦게까지 일하는 경우가 많아 불
규칙
적인 생활을 하기 쉽습니다.- 고객을 상대하는 업무이다 보니 정보기술이나 업무분석도 중요하지만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부분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잦은 불만을 표출하는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효과적이다.별빛 변화, 0.002%까지 감지한다 중성자별인 PSR1257+12에서 나오는 매우
규칙
적인 전파 신호를 이용해 이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1992년에 처음으로 발견한 이래, 외계행성을 찾는 연구는 국제천문학계의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가 됐다. 외계행성 발견은 인류의 오래되고 원초적인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제안한 펄서를 활용해 외계인의 신호를 찾는 방법이었다. 펄서는 빠르게 회전하며
규칙
적인 신호를 내보내는 중성자별로 우주에서 가장 특이한 천체 가운데 하나다. 만약 우주에 이 신호를 검출할 정도의 지적 수준을 가진 생명체가 있다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펄서의 신호에 주목할 것이라는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