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내 최애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소통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성장시킨 것도 K-POP 팬들의 화력이고요. 온라인 공연에서 온라인 커머스, 실시간 소통 등 수많은 콘텐츠를 소화하고 있는 팬 플랫폼은 팬덤의 힘이 만들어낸 새로운 매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Q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자신의 마음과 행위를 남과 비교하지 말아야 해요. 자신이 좋아하는 ... ...
- [이달의 과학사] 1944년 7월 13일 루빅큐브를 발명한 루비크 에르뇌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있는 색깔을 면마다 같은 색으로 맞추는 퍼즐이지요. 3×3×3 퍼즐뿐만 아니라 4×4×4, 5×5×5 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이 퍼즐을 처음 만든 사람은 1944년 7월 13일에 태어난 헝가리의 건축가 루비크 에르뇌입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대학교 디자인학과의 교수였던 그는 1974년 봄 큐브를 처음 ... ...
- [기획] 수사일지 2일 영상을 분석해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황 소장은 카라에게 받은 영상 파일에서 영상을 찍은 시간과 위치, 촬영 기기 등이 담긴 메타 정보를 추출해냈습니다. 그 결과 충북 옥천의 한 도로에서 아이폰 13프로 맥스로 촬영된 것이 드러났습니다. 영상 화면도 분석해 범인이 흰색 차량을 도로에 세워 놓고 범행을 한 것이 밝혀졌지요 ... ...
- [기획] 수사일지 FINAL 동물학대 범죄, 해결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지구대와 파출소 등 경찰관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경찰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등 노력하고 있답니다. 대법원이 양형 기준을 만드는 것도 수사에 도움이 될 거예요. 어디에 수사를 집중할지 알 수 있으니까요. 지방정부마다 있는 동물보호감시원이 피해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되면 ... ...
- [특집] 하늘에서 정보가 내려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기온, 습도, 미세먼지 농도, 풍속, 운량날씨를 나타내는 방법이 정말 많네요! 그런데 이 많은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찾아내는 걸까요? 이 ... 세로 각 12km 크기로 나눠 정보를 모으고 계산했는데, RDAPS-KIM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을 가로, 세로 각 3km로 더 세밀하게 나눴어요 ... ...
- [출동! 슈퍼M] “비바람에도 끄떡없는 우산이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우산은 접히지 않는 장우산(1단)과 한 번 접히는 2단 우산, 두 번 접히는 3단 우산 등으로 나뉘어요. 또 우산을 펼치는 방법에 따라 자동 우산, 수동 우산, 반자동 우산으로 나눌 수도 있지요. 다양한 우산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우산은 아래 세 종류예요. 팔각형 우산이 많은 이유는? 우산은 무슨 ... ...
- [과학뉴스] 달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성장 속도는 매우 다양했고요. 연구팀은 달 토양에서 자란 식물의 모습이 소금이나 금속 등에 노출되었을 때와 비슷하게 스트레스를 받아 잎이 작고,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도 발견했지요.펄 교수는 “식물의 유전 정보와 달 토양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서 달 토양에서 식물이 스트레스를 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들어가 개인정보 제공 항목을 찾아보세요. 개인정보 수집, 카메라 허용, 위치정보 허용 등에 관한 항목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꼭 필요한 것일까 생각해 본 뒤 의견을 올려 주세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비행기도 육지와 통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발명으로 무선 통신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덕분에 라디오 방송부터 스마트폰의 전화와 인터넷까지 무선으로 가능하게 됐어요. 무선 통신은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그 용도가 다릅니다. 주파수가 ... ...
- [특집] 비눗방울 어디에나 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소개한 연구 결과인데요. 이런 비눗방울의 120° 구조는 벌집, 현무암 기둥, 잠자리 날개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벌집은 평면을 한 가지 다각형으로 모두 채울 때, 같은 면적을 둘러싸는 길이가 최소가 되는 정육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요. 정육각형의 한 내각 크기는 120°입니다. 잠자리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