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유학일기] 도쿄대의 독특한 수업들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판서가 무지막지하게 많다. 그중에서도 트위터에 검색하면 뜰 정도로(일본에서는 학생들
사이
에서 트위터가 인기가 높다) 무자비한 판서로 악명높은 수학과 교수님이 한 분 있다. 내가 교양학부 교수님 중 가장 존경하는 미적분학 담당 아스케 타로 교수님이시다. 아스케 교수님은 수업시간이 되면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이런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속속 발견되면서 계통수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가지
사이
에 선이 하나 추가돼 이어지기도 했다.이처럼 유전자 분석이 발달하면서 생물의 새로운 유전적 특성과 진화 과정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 분류 체계를 세우는 ‘분자계통학’이 등장했다. 다윈의 생명의 나무는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가는 ‘베토벤’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EPJ 데이터
사이
언스’ 온라인판 1월 30일자에 실렸습니다.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의학적 사실을 고려해, 감염 집단의 전파력이 1일 때 무증상 감염 집단의 전파력은 0과 1
사이
의 값으로 나타내 정확성을 높인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슈퍼전파 사건이 일어났다면 확률로 예측하라반면 확률론적인 방법은 집단을 나누지 않고 감염병에 걸릴 확률, 전파할 확률 ... ...
[이달의 과학사] '피자 세이버' 발명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일, 미국의 발명가 카멜라 비탈리가 내놓은 해결책은 아주 간단했어요. 상자 뚜껑과 피자
사이
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중간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작은 받침대(③)를 세우는 거였죠. 수많은 피자를 구원한 이 발명품에는 ‘피자 보호기’라는 뜻의 피자 세이버란 이름이 붙었고요. 발명이 언제나 크고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괴물을 손바닥에 올린 뒤, 손가락을 쫙 펴 보세요. 마치 액체처럼 액체괴물이 손가락
사이사이
로 흘러내릴 거예요. 그런데 흐르는 모습을 관찰해보면 매우 찐득하고 느릿한 게 액체와는 다른 느낌이에요. 실제로 액체 괴물은 액체가 아니에요. 고체는 더더욱 아니지요. 정확하게 표현하면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2012년 동아
사이
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8권)’ ‘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 ‘가슴이야기’가 있다. ... ...
[SF에 묻는다] A.I. vs.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때문에 억지로 음식을 먹다가 고장이 나기도 합니다. 데이비드를 속여서 엄마가 자는
사이
에 몰래 들어가 엄마의 머리카락을 잘라오게 만들기도 하죠. 게다가 앞장서서 데이비드를 데려온 아빠 헨리는 점점 데이비드에게 거부감을 느낍니다. 특히 마틴이 돌아오고 난 뒤에는 데이비드 때문에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방법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딥러닝의 실체는 복잡한 합성함수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
에 보이는 복잡한 연결망이 뭔지 궁금하다고요? 사람의 뇌가 뇌세포의 복잡한 연결망으로 이뤄진 것처럼 딥러닝이라는 함수도 단순한 함수가 아닙니다. 많은 함수로 연결된 일종의 ‘합성함수’라고 할 수 있죠.y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적합한 딥러닝 알고리듬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중 최근 주목받는 기술은 대상
사이
의 연결 관계를 알아보는 수학의 ‘그래프이론’을 활용한 ‘신경망구조탐색(NAS)’입니다. 신경망구조탐색 기법은 쉽게 말하면 합성하는 함수의 종류와 합성 순서를 탐색해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해내는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