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개의 유전자만 있어도 자손에게 정상적으로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된
셈
이다. 물론 생쥐에게서 이랬다고 사람도 그런 것은 아니다.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의 Y 염색체에는 EIF2S3Y 유전자가 없다. 하지만 사람 역시 EIF1AY라는 매우 유사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 실제 기능도 비슷하다.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 33만7457명을 달성했다. 하루 평균 약 1000명에 이르는 시민이 방문해 과학문화를 체험한
셈
이다. 개관 1주년을 맞아 최은철 관장은 “앞으로도 국내외 관련기관과 함께 새롭고 특색있는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만들 예정”이라며 “우리 과학관을 모든 국민이 즐거운 마음으로 찾을 수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만들었어요. 월드컵 공인구 사상 패널 수가 가장 적어요.세상에서 가장 둥근 공인구인
셈
이죠. 브라주카는 지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공인구였던 ‘자블라니’가 표면이 너무 매끄러워 공을 차거나 잡기 힘들었다는 결점도 보완했어요. 브라주카는 표면에 아주 작은 돌기가 잔뜩 나 있어서 공을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쓰일 것이라 전망했다. 생명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NA가 로봇을 만드는 부품이 된
셈
이다.스테이플★ 흔히 호치키스라고 부르는 도구의 정식 이름이 스테이플러고, 그 안에 넣는 금속 심이 스테이플이다.스스로 접고 펴는 오리가미 로봇 등장! 책상 위에 종이 한 장이 펼쳐져 있다. 잠시 후 ... ...
[과학뉴스] 서울과 도쿄는 닮은 꼴 도시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도시에도 형제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프랑스 이론물리연구소 레미 로프 박사팀은 도시의 구역 형태에 따라 전 세계 도시를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을 밝 ... 한국의 수도 서울은 어떨까. 도쿄와 함께 두 번째 그룹에 속한다. 서울과 도쿄가 형태적으로는 형제인
셈
이다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리고 스마트폰 앱 기술이 맞물려 개발됐다. 디자인과 IT기술이 만난 융합연구인
셈
이다. 남세현 디자인연구센터 수석선임연구원은 이를 두고 “시대가 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우리 선배들은 옛날부터 ‘장인 정신’으로 일했습니다. 칼을 미세하게 갈아서 화폐를 찍는 정교한 요판을 직접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 수단이 A는 봉사라는 좋은 일, B는 평범한 일이었을 뿐이다. 분명A가 더 좋은 일을 한
셈
인데 사람들은 선행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도덕적’이라고 평가해다.이 외에도 ‘회사가 수익의 반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기로 했다’와 ‘회사가 수익의 반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반은 갖기로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입력하면 사이렌이 울리는 장치를 만들었다. 현재 많이 쓰이는 디지털도어락의 전신인
셈
이다. 그는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생체인식 보안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여러 기술 가운데 얼굴인식 방식이 사용도 간편하고 응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 유망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012년에는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탐사선 메이븐(MAVEN)의 총 예산 6억7100만 달러(약 7100억 원)와 비교하면 10분의 1의 돈만 쓴
셈
이다.물론 이런 말도 안 되는 예산으로 성공한 이유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와 긴 노동시간에 있다. 콧피리루 라다크리슈난 인도우주개발기구 이사장은 영국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유럽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진화했다. 쉽게 말하면, 해양파충류라는 집단은 일종의 ‘다문화 가족’인
셈
이다. 바다로 진출한 파충류 집단은 최소 9가지로, 모두 서로 다른 육상파충류 집단에서 진화했다. 집단에 따라 바다로 진출한 시기와 절멸한 시기가 제각각이다(개성 넘치는 분류군 각각에 대한 설명은 44~45쪽 INSIDE 참조)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