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표면을 일부러 울퉁 불퉁하게 만든다. 골프공 표면의 작은 홈인 ‘딤플’이 바 로 이런 장치다. 브라주카 표면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돌기가 있어 공기저항을 줄여준다. 덕분에 공이 빠 르게 날아갈 수 있다. 특히 브라주카는 느린 속도(초속 10~20m)에서 자블라니에 비해 공기저항이 월등히 적 다.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충전이 되는지 실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을 보여 주려 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직접 장치를 만들고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문제들을 충분히 느껴야 다른 사람들과 이에 대해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그래서 인터넷으로 실제 인공위성을 만들어 발사한 사례를 검색하고,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돌리면 오차가 누적되게 마련이다.그래서 동력원에서 전달되는 힘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했는데, 이것이 바로 탈진기(escapement)다. 왼쪽 그림은 대형 시계에 널리 이용됐던 핀휠 탈진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탈진기는 진자와 연결돼 있다. 진자는 진폭에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로 흔들리므로 ...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차단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 ...
- 바다에 살던 연어가 고향 강 찾아오는 비결은 ‘GPS’?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어떻게 제대로 찾아왔니?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곳을 자동차로 찾아갈 때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지요.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나단 푸트먼 박사가 연구한 결과, 저희 연어들도 몸속에 GPS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 지도’를 갖고 태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저희들이 먼 거리를 ... ...
- [시사] 물방울이 만드는 찰나의 예술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발전시켜서, 지금은 밸브로 물방울을 조절하는 촬영 장치를 만들어 쓰고 있답니다.이 장치로 원하는 이미지에 따라 물방울의 점성과 떨어트리는 각도를 조절하고, 빛의 밝기와 카메라의 초점 등을 수없이 조정하면서 사진을 찍습니다.저는 비록 수학을 잘 모르지만, 액체 조각 사진에 수학이 녹아 ... ...
- 카페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과학동아 l2014년 05호
-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팀은 “무선전력전송장치에서 5m 떨어진 곳에 있는 LED TV 전원을 켜는 데 성공했다”고 4월 17일 밝혔다.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전력(209W)을 5m 밖에서 무선으로 보냈다는 뜻으로, 관련 기술 가운데 가장 거리가 길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2007년 미국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뇌 부위에 주목했는데, 꿈을 꾸는 것은 꿈을 ‘보는’ 행위기 때문이었다. 만약 측정장치에 특이한 신호가 잡히면 자던 사람을 깨워 무슨 꿈을 꿨는지 물어보고 다시 재웠다. 이런 방식으로 하루 세 시간씩 7~10일 실험을 해, 한 사람당 200개 이상의 꿈 신호 자료를 모았다.연구팀은 이 자료를 ‘남성,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모래부터 유기물, 미생물, 중금속까지 모두 거를 수 있는, 최첨단 기술로 가득 차 있는 장치다. 크기도 학생 배낭 정도로 작다.흔히 적정기술은 첨단기술을 이용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박 소장은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구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비용을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