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두이노에 명령을 내려 원하는대로 작동하게 만들 수 있다.초등부에서는 고무찰흙으로 전자 피아노 키보드를 만들었다. 먼저 아두이노 보드에 ‘고무찰흙 키보드 쉴드’를 이용해 하드웨어를 조립하고, 엔트리를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했다. 고무찰흙은 전기가 통하기 때문에 필요한 아두이노 보드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임원진 대부분이 40~60대 남성인 것을 생각해보면 웃어 넘길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 임원여러분, 문제는 色입니다.투과율 30% 달성을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다른 문제들을 아직 해결하지 못하셨네요. 색채 과학의 입장에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난관은 동화효과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철학자들의 답변은 크게 실체론(substantivalism)과 관계론(relationalism)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시간과 공간이 실체가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후자는 시간과 공간을 마치 우정이나 사랑처럼 물체나 사건 간의 관계로 돌린다.데카르트는 물질이 곧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번에 찍어낸 소형 무인기도 함께 공개됐다. 연구팀은 “향후 보청기 같은 복잡한 전자기기도 사용자 귀 모양에 맞춰 찍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영국 러프버러대 연구진이 개발한 레이저 용형기술은 현재 SLS기법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덴마크 룩세셀사의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하는 것은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위성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테이프와 동그란 전지, 그리고 조그만 멜로디 회로가 독자 기자단을 기다리고 있었다. 전자회로 만들기를 담당하는 박영희 디자이너가 설명을 시작했다.“앞에 보이는 금색 테이프에는 전기가 흘러요. 전선이라 같다고 생각하면 되요. 테이프를 이용해 자신만의 멜로디 카드를 만들어 보세요 ...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다.사물인터넷에서 만국 공통어는 ‘전자 신호’다. 정보가 전자 신호로 변환되면,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기술과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같은 통신 기술, 네트워크 기술 등이 사물의 소통을 돕는다. 정보 보호를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필요하다. 이런 기술 38개가 깨알같이 모여야 원전을 해체할 수 있다. 여기에는 화학공학, 전자기계, 원자력공학, 로봇공학, 환경공학, 화학, 토목, 건축 등 온갖 과학기술이 총집합돼 있다. 윤지섭 본부장은 “원전해체는 융합과학”이라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하려면 해체센터가 건립되고 현재 20여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투명하고 얇은 데다 기존의 투명 전극보다 저항값이 250배나 낮았다. 앞으로 전자피부를 포함해 자연스러운 웨어러블 제품을 만드는 데 이용될 전망이다. 이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실렸다. 거미줄에서 얻은 힌트연구팀은 첫 아이디어를 ‘거미줄’에서 얻었다. 거미줄은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에너지 하베스팅은 사물인터넷 분야에서도 빛을 발할 전망이다. 사물인터넷은 수많은 전자제품에 설치된 무선 센서가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중앙센터로 보낸다. “건물이나 댐의 구조적 안정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거나 환경오염 감시, 정찰 및 안전감시, 농작물 관리 시스템, 항공기 수명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