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맞는 보정용 깔창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기자는 아치를 받쳐
줄
수 있는 안정화 한 켤레를 구매했다. 이제 장비도 갖췄으니 달리는 일만 남았다. STEP 2. 근육 부상 막아 주는 테이핑 결전의 날, 서울달리기대회는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이 출발선이었다. 아직 해가 다 뜨지도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
기세포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
줄
기세포의 주변 세포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분의 1로
줄
였지만, 내연기관과 경쟁하기 위해 10분 1을 더
줄
여야 한다”며 “‘최고의 촉매’를 찾기 위해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줄
에 숫자1~9를 하나씩만 채워 완성하는 수학 퍼즐 ‘스도쿠’를 했을 때 귀벌레 현상이
줄
었습니다.주의할 점은 스도쿠의 난이도가 높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니 너무 어려우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또 하이먼 교수는 문제의 노래를 찾아 끝까지 들어버리라고 합니다. 머릿속에 맴도는 노래는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현대 수학의 발전을 통해 이렇게 오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해서도 아름다운 답을
줄
수 있다는 거죠. 여러분 중 누군가가 기초적인 수학으로 이 문제를 풀어낸다면 논문으로 출판해도 될 겁니다.중고등학교에서는 이미 답이 정해져 있는 문제를 푸는 것이 수학인 것으로 느끼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삶을 변화시킬 연구에 매진하고 있을 많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줄
미래의 과학자들을 응원한다. 임승외미국 퍼듀대 약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3일 단축됐다. 결과적으로 전체 생육 기간이
줄
면서 기온 1도에 낱알 개수는 1m2당 1119개
줄
었고, 밀알 1000알의 무게는 1.2g 감소했다. 가뜩이나 몸값 비싼 우리밀이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이다. 서 교수는 “밀이 가진 고온 저항성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진동수를 갖는 에너지 알갱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플랑크는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꿔
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고, 플랑크 상수는 당시의 물리학을 바닥부터 흔들어 놓는 양자역학의 문을 열었다. 기술 발전으로 업그레이드 된 칸델라고온의 흑체는 태양빛처럼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을 동시에 내기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글을 잘 쓰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주어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할
줄
아는 학생을 원한다”고 말했다. 조언 다양한 기회가 열린 학문 홍 학과장은 사회 다방면에서 다양한 문제에 관심이 있었 고, 이를 공학적으로 해결하고 싶어 산업공학과에 진학했 다. 졸업 후에는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번식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이 기생충이 인간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톡소포자충에 감염될 경우 간질이나 조현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oi:10.17219/acem/61435식물 중에도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라는 심비오트 후보가 있다. 이 세균은 식물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