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적은 피켓을 든 채 지난 4월 22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함께하는 과학행진’에 참여했다.#휴가차 친구와 서울에 온 멕시코인 멜리사 라모스 씨(오른쪽 사진)는 휴가 기간 중 ‘과학행진’이 열린다는 말을 듣고 미국에 갈 것을 심각하게 고민했다. 하지만 서울에서도 행진이 열린다는 말을 듣고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4일 동안 머무르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로봇공학과 코딩, 3D프린팅 교육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지 학생들과 함께 조를 이뤄 3D프린터를 직접 조립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을 체험하고, 아두이노를 이용해 기초적인 로봇 교육을 받는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를 배운 뒤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무를 더 많이 심었고, 결국 아마존에서 우세한 나무종이 된 거라 추정했어요.연구에 참여한 미국 시카고필드박물관 니겔 피트만 연구원은 “85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앞으로 아마존에 살고 있는 1만 6000종의 나무가 어떤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는지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모르간 라마르카와 칸디스 카민스키, 그리고 미국 앨라배마대 의대 다니엘 추 교수가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다양한 포유류의 배변활동을 분석해 학술지 ‘소프트 매터’ 4월 25일자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미국 애틀랜타 동물원에서 포유류 34종의 똥을 모아 분석했습니다. 지름은 직장의 지름과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습적인 상륙 작전을 결정했다(1944년 6월). 미군 250만 명을 포함해 총 350만 명의 병력이 참여한 대전쟁이었다.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은 독일의 패망을 앞당겼다.스페인은 영국 본토의 상륙 작전을,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수행하는 시기를 6월로 선택했다. 상륙작전에서 가장 중요한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람만 참여해요.퍼즐을 300개 이상 소장하고 기존 회원의 추천을 받아야지만 파티에 참여할 수 있어요. 또 불참을 여러 번 하면 자동 탈퇴돼요. 우리나라에선 저를 포함해 2명만 참석하고 있지요. 유명 퍼즐 개발자는 물론 전세계 퍼즐 덕후가 모이기 때문에 희귀한 퍼즐도 알 수 있고, 평소 가졌던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다이아몬드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작용하는 힘과 끈 끝부분을 당기는 힘이 필수 요소”라며 “두 힘이 함께 작용하지 않으면 신발끈이 풀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진은 이번에 밝혀낸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궁금했는데, 직접 신문 만드는 기계를 볼 수 있었답니다.신문 만들기 체험에도 참여해 ‘박서준 신문박물관 방문’기사도 썼어요. 제가 작성한 기사를 신문으로 출력하니 멋지더라고요.기자단 친구들도 내 이름이 들어간 나만의 신문을 만들어 보길 바랄게요. ★기사 2 국립중앙박물관‘세계유산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인정받아 미국 뉴욕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 ‘로우라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Part 4.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을 배우기 위해 학교 지원 프로그램이나 대기업이 지원하는 외부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세 학생이 저글링 수학으로 논문을 쓴 것도 학교 연구프로그램 덕분이었다.시작은 김장수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만난 일이었다. 김 교수는 어릴 적 장난삼아 했던 귤 저글링이 수학과 매우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