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따라서 지상 망원경은 최대한 대형화를 통해 보다 흐린
천체
를 볼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지상에서 관측가능한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과 전파에 국한돼 있음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지상 광학 망원경의 당면 과제는 구경을 늘려 집광력을 높이는 것이다.현재 ... ...
중력의 임무(Mission Of Gravity)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지구의 절반도 안되기 때문에 약간 찌그러진 타원 모양이다. 따라서 자전 속도가 빠르면
천체
의 모양이 납작해진다는 설정은 전혀 무리한 내용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메스클린은 강력한 원심력 때문에 모양이 납작해져서 극지방 중력이 지구의 7백배에 달하는데 비해 적도 중력은 3배밖에 안된다는 ... ...
4. 21세기를 여는 통합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목표에 단계적으로 접근했다. 17세기에 뉴턴은 행성의 운동을
천체
의 운동으로 통합했고, 19세기에 맥스웰은 광학을 전기와 자기에 대한 이론과 결합시켰다. 20세기 초에 아인슈타인은 시공간의 성질과 중력이론을 통합했다. 그리고 1920년대에 양자역학이 등장함에 따라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탐색하기 시작한 지 50여 년이 지났다.이 기간 동안 전파망원경을 통해서 많은 새로운
천체
들이 발견됐다.위에서 언급했던 ALMA계획은 미국 국립아카데미가 최근 발표한 향후 10년간의 천문학 투자 계획에서 계속적인 지원이 확정되었다.ALMA전파망원경을 통해서 처음으로 초기 우주의 은하들의 역학적 ... ...
한국천문 연구원, 소행성 2000KJ4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도중에 이루어졌다. 현재 지구접근
천체
에 대한 관측이 계속되고 있으며 지구접근
천체
탐색 전용관측시스템이 갖추어지는 2000년 말에는 본격적인 탐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가운데 파장이 제일 짧기 때문에 퀘이사, 펄사, 또는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고에너 지
천체
를 포함, 주로 강렬한 에너 지원을 연구대상으로 한다.천문 학자들은 1MeV를 기준으로 X선과 감마선을구분하지만, 이 두 영역 은 부분으로 겹칙 때문에 그 경계 를 명확하게 구분짓기는 어렵다. 감마선은 ... ...
우주를 보는 창 망원경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소망은 멀고 희미한
천체
를 더 크고 자세하게 보는 것이다.망원경이 발명되고 나서 더 큰 구경의 망원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무려 10m의 지름을 갖는 광학망원경을 완성해냈다.또한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이 아닌 다른 빛에 실려온 우주의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전파망원경을 비롯한 자외선,적외선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8m 망원경이다. 1994년에 보현산 천문대가 완성된 이후 현재까지 이 망원경은 다양한
천체
의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1999년에는서울대학교 초신성 탐사팀이 이 망원경을 사용해 Abell 2065라는 먼 은하단에서 초신성을 발견하기도 했다(초신성의 이름은 SN1999dm). 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한 외부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으로 예상된다.월식 사진을 찍어보자달은 초보자가 사진 촬영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천체
다.망원경이 없더라도 카메라 한대만 있으면 촬영을 시도해볼 수 있다.특히 개기 월식 모습을 다양한 모습으로 촬영한다면 보람있을 것이다1.다중노출이번 월식은 달의 고도가 20도 전후여서 개기식 중의 붉은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구동을 담당하는 관측 오페레이터가 함께 한다. 관측자가 오퍼레이터에게 관측할
천체
에 관한 데이터를 주면 오퍼레이터가 이것을 구동프로그램에 준다. 그러면 망원경은 자동으로 위치를 찾아가 CCD카메라로 관측한다. 관측자는 CCD가 보내온 자료를 분석해서 연구를 하면 된다. 그러니 연구원들은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