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좋은 결과를 얻었지요. 머지않아 절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순수 수학 문제도 컴퓨터를 적재적소에 잘 사용해 해결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 인형뽑기 마스터의 길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집게 힘과 균형, 회전율부터 뉴턴의 운동 제3법칙인 작용 반작용의 법칙까지 이용했다.컴퓨터 그래픽 디자인이 취미라는 윤석균 씨도 처음 인형뽑기를 시도했을 때 쓴맛을 보고 연구를 시작했다. 오랜 연구의 결과 마스터의 경지에 이르렀고, 널리 이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본인처럼 인형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하는 그 순간을 즐기세요.보드게임만의 매력이 궁금합니다.상대를 보고 느낄 수 있지요. 컴퓨터 게임으로 도 얼굴을 볼 수 있고 대화도 할 수 있지만, 실제로 느끼는 것은 아닙니다. 보드게임은 달라요. 어떤 좋은 수를 두면 주변 사람들의 표정이 변하면서 ‘우와~!’ 표현이 나오지요. 즉각적으로 ... ...
- [과학뉴스] 큰 눈 덕분에 바다에서 육지로 진화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볼 수 있는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지거든요.연구팀은 동물 눈이 커질 때의 장점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했어요. 그 결과 눈이 3배 커지면 동물의 시력이 100만 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연구팀은 물속의 동물들이 이렇게 커진 눈으로 육지에 사는 노래기, 지네, 거미 등 풍부한 먹이를 발견했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는 장난감을 만들 수도 있답니다.비법 ➊ 코드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아이팝콘이나 컴퓨터를 통해서 스크래치를 실행시키면 여러 블록들을 볼 수 있어요. 이 블록들은 일종의 ‘단어’랍니다. 이 단어들을 나열해서 완성된 ‘문장’을 만들면 소프트웨어가 이 문장대로 동작하는 거죠.그림이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각이나 청각, 움직임 등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세계를 디지털 정보를 처리하는 기계·컴퓨터 세계와 연결하는 기술을 말해요.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마우스나 키보드가 대표적인 HMI에 속하지요.메소드-2도 마찬가지예요. 조종석에 있는 조종기를 작동하면 조종기 주변에 있던 센서가 움직임을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학과 교수팀은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미분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컴퓨터 유체역학’이라는 방법으로 풀어, 그 내용으로 요트를 설계했습니다.앞에서 말했던 대로 돛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제네이크’라고 불리는 보조 돛은 비대칭 삼각형으로 만들었습니다. 돛대의 소재도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느끼는 양을 알아보는 인공지능이 개발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컴퓨터연구소 피터 로빈슨 교수팀은 양의 표정을 관찰해 통증 정도를 알아낼 수 있는 ‘양 고통 표정 척도’를 활용한 인공지능을 개발했다.양 고통 표정 척도는 지난해 영국 체스터대 동물 행동학자 크리스타 맥레난 박사가 고안한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장치를 작동시키자, 인근 2광년 이내에 있는 온갖 물질이 조사되었다.그리하여 우주선의 컴퓨터는 인근 상점에 있는 우유나 포장 이유식을 발견했음은 물론, 지구 반대편에 있는 과일 나무 속의 과일즙이나 남아메리카 산맥의 한 목동이 끌고 가고 있던 염소의 젖까지 아기에게 적합한 에너지 원임을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결여, 반복적인 행동 등으로 대표되는 발달장애다. 아직 학부생인 미국 뉴욕주립대 컴퓨터공학과 조근우 씨(아래)가 개발했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사진을 볼 때 일반 사람과는 달리 시선이 분산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조 씨는 이를 이용해 자폐를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2~10세의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