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제자 앨퍼가 한 연구 결과였다).이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측정밖에 없었다. 하지만 가모프
팀
이 이 계산을 한 1940년대 말에는 불가능했다. 복사에너지를 측정해 우주의 온도를 재면 되지만, 도대체 어떻게? 온도계를 들고 우주로 나가서? 인공위성조차 없던 시절이었다. 이 이론은 그 후 거의 15년 동안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8이란 수를 예측한다면 나눈 숫자가 5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천정희 교수 연구
팀
은 이를 막기 위해 원래 메시지에 불필요한 정보를 추가한 뒤 암호화 하는 방법도 생각해냈다. 해커가 원래 메시지를 유추할 수 없도록 만든 것이다.이처럼 날로 교묘해지는 해킹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 ...
[핫이슈1] 청심ACG수학대회에 도전하세요!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한다. 이때는 특히 친한 친구들과
팀
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처음 만나는 학생들과 한
팀
을 이루게 된다. 이 때문에 의사소통과 협력하는 능력을 발휘해야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풀어야 하는 문제도 단순한 수학 문제가 아니다. 국제적인 이슈와 수학을 융합한 문제를 통해서 학생들의 국제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익히기’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일은 동시에 할 수 없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썽크
팀
은 중간에 5분이나 허비하게 된다. 결국 38분이나 걸려야 야채 스프를 완성할 수 있다.그렇다면 가이의 계획은 어떨까? 가이(A)는 불을 사용하는 일을 중심으로 계획표를 작성했다. 그랬더니 둘이서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넘으므로 1을 앞의 자리로 올린다. 곱셈 값은 325다.알콰리즈미의 심사평 ★★★☆☆이
팀
의 곱셈법은 정말 쉬우면서도, 구구단을 외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군요. 정말 놀라워요~! 그런데 선긋기 곱셈법 말입니다. 두 자리 수는 괜찮지만, 235×5967과 같은 큰 수를 곱하려면 선을 긋다가 이미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있다. 무게는 궤도선이나 착륙선 모두 아직 미정이지만 550kg은 넘지 않는다. 주광혁
팀
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달 탐사 기한을 앞당기겠다고 선언한 만큼 기한이 앞당겨지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2020년까지는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달착륙선을 완성해 보일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세라믹 글로벌 챌린저’ 선발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에서 금상을 받은 ‘엄지걸스’
팀
(경희대 김정윤· 이나영)의 동영상은 첨단세라믹 소재가 현재 우리 주변의 어떤 제품에 쓰이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물건에서 첨단세라믹 소재를 찾을 수 있다.지난 2월 말,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두 발로 걸었다고 발표한 것은 고인류학자 오웬 러브조이 미국 켄트주립대 교수와
팀
화이트 미국 UC버클리 교수입니다. 특히 러브조이 교수의 1981년 사이언스 논문은 학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습니다. 이미 1979년에 영국의 고인류학자 매리 리키 박사가 탄자니아의 래톨리 지역에서 화산재 위로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철학은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팀
버튼의 문화적 영향력을 고려해 본다면
팀
버튼은 숨겨진 세기의 심리학자가 아니었을까? 그 해답은 여러분의 판단에 맡긴다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필요한 ‘나침반’은 은하수처럼 별이 가득 모인 빛무리라는 이야기예요. 연구
팀
은 다른 곤충도 같은 방식으로 길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