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오른쪽 위 사진). 스마트워치 소재는 이미 인체 적합성 인증을 받았다. 성유철 대림
화학
부장은 “기존의 인체 친화적 재료를 3D 프린터에서 녹여 짜낼 수 있도록 재료의 고분자 체인을 조절해 접착력과 반응 시간 등을 바꿨다”고 말했다.국내의 한 3D 프린터 제조 업체는 윤충식 교수의 자문을 받아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과정과 소비자 가정에서 세탁되는 과정에서 PFC가 떨어져 나와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데,
화학
적 안정성이 높아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는 게 더 큰 문제다. 경규림 그린피스 홍보 담당자는 “왁스와 실리콘 계열의 대체 물질이 이미 있지만, 고어텍스의 이미지가 워낙 좋아 아웃도어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성과에 취해 앞으로의 계획은 부실한 경우를 종종 보기 때문이다. 김건태 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교수를 만나기 전에도 그런 마음이 조금은 있었다. 최근에 연달아 좋은 성과를 내서 연구 의욕도 조금 떨어져 있지는 않을까. 그래서 정상적인 인터뷰라면 마지막쯤에 할 질문인, 앞으로의 계획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장난’과 같은 가사가 들어 있어요.‘Atomic’은 ‘원자의’라는 뜻이에요. 앞서 원자가
화학
적인 특성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기본 입자라고 배웠죠? 그런데 ‘신의 입자’란 건 뭘까요?과학자들은 ‘세상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 ...
함수로 빙판길 미끄러짐을 설명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빙판길에서 쭉쭉 나아가는 스케이트는 정말 신나지요. 하지만 빙판길에서 미끄러지면 크게 다칠 수 있어요.빙판이 얼마나 미끄러운지 알면 겨울 놀이도 즐 ... 타이어와 신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
화학
물리학저널’ 12월 8일자에 실렸습니다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화학
반응이에요. 그런데 온도가 높아져도 다른
화학
반응과 달리 속도가 일정해요.
화학
반응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내면 그 해는 주기를 갖고 있어요. 그런데 온도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값이 크면 해의 주기도 짧아져 버려요. 생체시계의 원리를 알아내려면 매개변수의 크기가 바뀌어도 주기는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원자’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확인한 사건을 빼 놓을 수 없다. 물론 18~19세기에도 일부
화학
자들이 ‘원자론’이라고 부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실제로 유용한 개념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인류는 20세기에 들어와서야 원자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실험을 통해 두 눈으로 확인할 수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활성도를 낮춘다는 것은 균이 반응할 수 있는 물 분자수를 줄인다는 의미입니다. 물의
화학
식인 H2O 상태 그대로 있는 분자를 자유수(Free water), H2O에 수산기(-OH)나 암모늄이온 등이 붙어 있는 분자를 결합수(Bound water)라고 합니다. 결합수는 균이 번식하는 데 이용할 수 없습니다. 오로지 자유수만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크릭 연구소 교수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한 공로로 2015년 노벨
화학
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2월에는 크릭 연구소의 ‘노른자’ 위치 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생겼다. 교통이 너무(?) 좋은 나머지, 연구소 바로 옆에 광역철도 ‘크로스레일’ 2호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수학과 교수)의 논문 ‘Modeling snow crystal growth', 파블로 데베네데티(미국 프린스턴대
화학
생명공학과 교수)의 논문 ’Direct calculation of ice homogeneous nucleation rate for a molecular model of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