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다른 방법을 찾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화성의 대기 조성을 조사해보는 것이었다.생물의
흔적
은 대기권에그는 생물체는 어느 행성에 존재하든지 자신에게 필요한 물질의 수송 매개체로서 대기권을 이용하고 물질대사의 결과 생성된 노폐물의 처분 장소로는 물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화산작용1879년 영국 천문학자인 조지 다윈은 달은 지구에서 떨어져 나온 한 조각이며 그
흔적
은 지구의 태평양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지금으로는 허황된 듯 보이지만 당시 달은 지구 질량의 1%에 불과하며 태평양의 크기만큼에 해당된다고 믿었으므로 상당히 흥미로운 주장이었다. 그러나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그런 힘든 시대였다. 우리가 강의를 듣던 강의실은 이제 극장과 식당이 들어서
흔적
도 없고 옛날 대학본부만이 문예진흥원 건물로 쓰여지는 까닭에 그 원형을 보존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 학생들처럼 미팅이니 하는 것은 생각도 못했고 그저 물리학 공부에 매달리다 기껏해야 뚝섬에 소풍가는 것이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바로 천문학자들을 당황시키는 것이다.우리은하에서만 1백50여곳의 여진(초신성 폭발
흔적
)이 발견되는데 천문학자들이 관측한 중성자별은 불과 20여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중성자별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뉴욕대학의 제럴드 브라운과 코넬 대학의 한스 베세는 "중성자별 대신에 블랙홀이 되었다 ... ...
화학 - 무늬찍어내기와 반짝이는 글씨쓰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온도가 파라핀왁스의 녹는 점을 지나게 되면 왁스가 녹으면서 색소가 종이에 무늬를
흔적
으로 남기게 됩니다. 종이에 나뭇잎 모양대로 그림이 나타나게 되는 거죠. 아주 간단한 방법이죠!크레용에 대해 좀 더 알아볼까요? 크레용의 원료는 색소와 파라핀왁스랍니다. 파라핀은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행성의 진화를 비교해 본다.달에도 남아있는 마그마 바다
흔적
내행성의 냉각속도는 그 질량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행성이 가지는 열의 양이 질량과 비례한다고 가정했을 때, 큰 행성은 작은 행성에 비해서 표면적/질량비가 작기 때문에 보다 천천히 식는다.(표1)은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랜 포위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사로잡히고 말았다. 그 뒤 역사의 무대에서 그의
흔적
은 찾을 수 없다.파디는 오랫동안 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점차 만일 그 족장이 피신했던 동굴을 찾을 수 있다면 사건의 전모를 밝힐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됐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루카는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 유성우는 중간 정도의 이동 속도를 갖지만 가끔씩 그들이 지나간 자리에 화려한
흔적
을 남긴다.시간당 17-20개까지의 별똥을 볼 수 있고 상당히 밝다. 정북쪽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마치 북극성으로부터 각 별자리로 연락을 하는 느낌이 든다.보통 북극성 일주 사진을 찍을 때보다 F수를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론에 따르면 매듭들이 주위를 둘러 싼 가스를 끌고나갈 때 생긴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흔적
들은 불과 1천여년 전에 엄청난 규모의 폭발이 오리온 성운에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한다.폭발이 어떤 종류였는지는 아직 모른다. 그 폭발은 불안정한 표면물질을 가진 젊은 별에서 아주 밝게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염 피해가 가장 심했던 염해 마을을 찾았다. 포구 주변의 모래사장은 겉으로 기름의
흔적
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삽으로 파내려가자 기름은 수 ㎝ 아래에 검은 층을 이루며 침투해 있었다. 깨끗해 보이던 표층의 모래도 30㎝ 아래의 모래에 비하면 검은 빛깔을 띄고 있었다. 유기용매로 모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