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카파도키아 암반동굴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한때 1백 50개 이상의 동굴교회가 있었다는 카파도키아 지역. 이곳에 사람이 거주했던
흔적
은 무려 기원 전 4천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71년 동방여행을 떠났던 마르코 폴로가 쓴 '동방견문록'에는 카파도키아주민들의 생활상이 잘 묘사돼 있다. 마르코 폴로는 이곳의 특이한 자연을 극찬하며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화산작용1879년 영국 천문학자인 조지 다윈은 달은 지구에서 떨어져 나온 한 조각이며 그
흔적
은 지구의 태평양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지금으로는 허황된 듯 보이지만 당시 달은 지구 질량의 1%에 불과하며 태평양의 크기만큼에 해당된다고 믿었으므로 상당히 흥미로운 주장이었다. 그러나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바로 천문학자들을 당황시키는 것이다.우리은하에서만 1백50여곳의 여진(초신성 폭발
흔적
)이 발견되는데 천문학자들이 관측한 중성자별은 불과 20여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중성자별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뉴욕대학의 제럴드 브라운과 코넬 대학의 한스 베세는 "중성자별 대신에 블랙홀이 되었다 ... ...
화학 - 무늬찍어내기와 반짝이는 글씨쓰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온도가 파라핀왁스의 녹는 점을 지나게 되면 왁스가 녹으면서 색소가 종이에 무늬를
흔적
으로 남기게 됩니다. 종이에 나뭇잎 모양대로 그림이 나타나게 되는 거죠. 아주 간단한 방법이죠!크레용에 대해 좀 더 알아볼까요? 크레용의 원료는 색소와 파라핀왁스랍니다. 파라핀은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그런 힘든 시대였다. 우리가 강의를 듣던 강의실은 이제 극장과 식당이 들어서
흔적
도 없고 옛날 대학본부만이 문예진흥원 건물로 쓰여지는 까닭에 그 원형을 보존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 학생들처럼 미팅이니 하는 것은 생각도 못했고 그저 물리학 공부에 매달리다 기껏해야 뚝섬에 소풍가는 것이 ... ...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행성의 진화를 비교해 본다.달에도 남아있는 마그마 바다
흔적
내행성의 냉각속도는 그 질량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행성이 가지는 열의 양이 질량과 비례한다고 가정했을 때, 큰 행성은 작은 행성에 비해서 표면적/질량비가 작기 때문에 보다 천천히 식는다.(표1)은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랜 포위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사로잡히고 말았다. 그 뒤 역사의 무대에서 그의
흔적
은 찾을 수 없다.파디는 오랫동안 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점차 만일 그 족장이 피신했던 동굴을 찾을 수 있다면 사건의 전모를 밝힐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됐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루카는 ... ...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있는 달행성연구소의 연구진이 발표했다.크레이터의 크기가 명확하지 않은 이유는 충돌
흔적
이 1천m 이상 지하에 매몰돼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그 주변 7천개소의 중력데이터를 근거로 지금까지 외연이라 여겨졌던 바깥쪽에 지름 3백㎞나 되는 제 4의 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그러나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쥐라기 초두에 북반구에 출현한 갑옷룡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남반구에는 거의 진출한
흔적
이 없고 겨우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에서 백악기의 소형 갑옷룡의 화석이 한 두가지씩 발견되고 있을 뿐이다. 고온 건조 등 환경악화를 이겨내는 갖가지 진화곤드와나에 살아남은 뇌룡의 또하나 특이한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오염 피해가 가장 심했던 염해 마을을 찾았다. 포구 주변의 모래사장은 겉으로 기름의
흔적
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삽으로 파내려가자 기름은 수 ㎝ 아래에 검은 층을 이루며 침투해 있었다. 깨끗해 보이던 표층의 모래도 30㎝ 아래의 모래에 비하면 검은 빛깔을 띄고 있었다. 유기용매로 모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